11일 한은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코로나19로 낮아진 소비자물가는 향후 코로나19 전개상황 및 국제유가 추이에 따라 결정될 것이나 불확실성이 매우 높다고 밝혔다.
한은은 "코로나19의 전세계적인 확산과 이를 억제하기 위한 주요국의 봉쇄·격리조치가 글로벌 수요와 공급에 전례 없는 부정적인 충격을 주는 가운데 물가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대면접촉 기피 및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수요측 물가압력이 약화됐으며 국제유가 하락도 물가하방요인으로 작용했다" 면서 "반면에 이동제한에 따른 노동공급 감소, 글로벌 공급망 약화 등에 따른 생산 차질은 물가의 상방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정책의 경우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한 가계·기업 지원정책은 물가하방압력을 완화시키지만, 복지정책 및 간접세 인하 등은 일시적 물가하락요인으로 작용했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대부분 국가에서 생산 차질 등에 따른 상방요인에 비해 수요 감소, 유가 하락 등에 따른 하방압력이 크게 나타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빠르게 둔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로는 국제유가 급락에 따른 에너지가격 하락이 물가상승률 둔화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코로나19 확산 정도와 이에 대응한 봉쇄조치 및 정부정책 등의 차이로 인해 단기적인 물가흐름이 다소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전면 봉쇄조치가 시행된 주요 선진국의 경우 식료품 등 생필품가격이 생산 차질, 비축수요 증가 등으로 오름세가 확대되면서 물가상승률 둔화를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봉쇄조치로 인한 사업체의 영업중단 등으로 가격조사가 어려워진 점도 서비스물가의 하방압력이 충분히 반영되지 못하는 요인으로 작용했다.
전면 봉쇄조치가 시행되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생필품가격 상승이 미미한 가운데 고교무상교육 확대, 개별소비세 인하 등의 정부정책이 추가적인 물가하방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국가별 봉쇄 정도와 식료품 및 서비스 물가 변동과의 관계를 보더라도, 봉쇄조치가 강할수록 식료품가격의 상승폭과 서비스물가 하락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이후 기대인플레이션은 지표별로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문가 및 일반인 서베이 지표를 보면, 단기 기대인플레이션(향후 1년)이 최근의 물가 흐름을 반영하여 하락한 반면 장기 기대인플레이션(5년앞)은 대체로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유지했다.
주요 선진국의 경우에도 5월 중 전문가 서베이 기대인플레이션의 1월 대비 변화를 보면, 단기 기대가 0.3~0.9%p 정도 하락하였으나 장기 기대는 상승과 하락이 혼재된 가운데 그 폭은 제한적이었다.
한편 일반인 기대인플레이션의 응답분포를 보면 코로나19 확산 이후 소비자들의 향후 물가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우리나라의 경우 향후 인플레이션 수준에 대해 '모르겠음'으로 응답한 비율이 커지고 응답자간 불일치 정도가 확대됐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에서도 개별 응답자의 미래 물가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응답자간 불일치 정도가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
데일리 금융경제뉴스 FNTIMES - 저작권법에 의거 상업적 목적의 무단 전재, 복사, 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금융신문 & FNTIME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