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 예타 통과…7년간 1조 투입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투데이 조재학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경찰청은 ‘자율주행 기술개발 혁신사업’이 예비타당성조사를 최종 통과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3월 친환경차 분야 연구개발(R&D) 사업이 예타를 통과한 데 이어 이번에 자율차 분야까지 예타를 통과하면서 우리나라 미래차에 대한 중장기 종합 개발 전략이 본격 추진될 전망이다. 특히 정부 집중 육성 빅3 산업인 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미래차에 대한 지원방향이 모두 확정됐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10월 수립한 ‘미래자동차 발전 전략’을 이행하기 위해 산업부 주도로 4개 부처가 공동 추진한 사업이다. 내년부터 2027년까지 7년간 총 1조974억원이 투입된다.

자율주행기술은 전 세계적으로 상용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특히 자동차산업의 지능화·서비스화 등의 혁신적인 변화와 함께 교통사고 해소 등의 사회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아시아투데이

미국자동차 기술자 협회(SAE)의 자율주행 레벨 구분./제공= 산업통상자원부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운전자의 개입을 최소화하고 차량 스스로 상황을 인지·판단해 주행하는 레벨4 수준의 완전자율주행 기술개발을 진행 중이다. 현재는 주행차선 이탈 방지, 차량 간격 유지 등 운전자의 주행을 보조해주는 자율주행 레벨2 수준이다.

정부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도심로·전용도로·비정형도로에서 다양한 물체에 대응해 주행하고, 차량-클라우드-도로교통 등의 인프라 융합을 가능하게 하는 융합형 레벨4의 완전 자율주행 기반을 완성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영상 인식·처리 기술, 차량 플랫폼 기술, 차량 부품·시스템의 평가기술 등을 개발하는 ‘차량융합 신기술’ △데이터 처리, 차량통신·보안, 자율주행 AI SW 등을 포함한 ‘ICT융합 신기술’ △교통인프라 정보와 자율주행 기술을 연계하는 ‘도로교통융합 신기술’ △대중교통 자율주행 신산업 창출을 위한 ‘자율주행 서비스’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과 표준화 기반 확보를 위해 법·제도를 개선하는 ‘자율주행 생태계 구축’ 등 5개 분야를 중점 추진한다.

정부는 이를 통해 산업기술과 사회문화적인 지대한 파급효과도 달성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