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文대통령·당지도부 묵인이 '문빠'들의 무차별 공격 키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與의원이든 親與 시민운동가든 정부에 쓴소리땐 가차없이 응징

文대통령, 대선때 "양념같은 것"

강성 친문(親文) 지지층은 같은 진보 계열이라도 문재인 대통령이나 정부에 조금이라도 이견(異見)을 내면 가차 없이 응징해왔다. 정치권에선 "문 대통령과 여당 지도부가 이들의 일탈을 바로잡지 않고 묵인하면서 문제가 더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미래통합당 심재철 원내대표는 18일 당 회의에서 "민주당 지도부가 이성을 상실한 문빠들의 눈치를 보고 있다"고 했다.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도 "당이 문빠들에게 발목이 잡혀 있으니, 잘못된 것을 알면서도 오류를 수정하지 못한다"고 했다. 민주당 핵심 관계자는 "이들을 제지할 필요가 있지만 문 대통령이 이런 행태를 용인하는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주면서 누구도 나서기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대선 때 '문자 폭탄' 등에 대해 "치열하게 경쟁하다 보면 있을 수 있는 일"이라며 "우리 경쟁을 더 이렇게 흥미롭게 만들어주는 양념 같은 것"이라고 했었다.

그러나 강성 지지층들의 행태는 민주주의의 주요 원리인 다양성을 부정하며 획일성을 강요하고 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 인사청문 위원이었던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청문회 당시 다른 여당 위원들과 마찬가지로 야당의 공세를 차단하며 '방어진 구축' 역할을 했다. 하지만 조 전 장관이 낙마한 뒤 페이스북에 "책임을 통감하는 자가 단 한 명도 없다"라는 글을 남겼다. 그러자 친문 지지층은 온라인상에 "드디어 본색을 드러냈다"며 '댓글 폭탄'을 쏟아냈다. 부산이 지역구인 김해영 최고위원은 당 회의에서 조 전 장관 문제에 대해 "국민의 갈등이 증폭되고 많은 국민께 심려를 끼쳤다"고 하자 '문자 폭탄'과 함께 의원회관과 지역구 사무실로 항의 전화가 이어졌다고 한다. 조 전 장관에 대해 쓴소리를 했던 금태섭·박용진 의원은 문자 폭탄 수천 건에 시달렸다.

김경율 전 참여연대 공동집행위원장도 조 전 장관과 그를 옹호한 친문 인사들을 비판했다가 참여연대를 떠났다. 김 전 위원장은 "모두를 말살할 수 있는 광기를 느꼈다"고 했다.





[김동하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