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기생충은 미국 이야기"…'불평등 논쟁' 다시 불 지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앵커]

'기생충'은 더이상 우리만의 이야기를 풀어낸, 우리만의 영화는 아닌 것 같습니다. 영화적인 성공을 넘어서 전세계에 의미있는 논쟁까지 불러냈습니다. 미국에선 "한국보다 우리가 더 불평등한 세계에 놓여있다"는 고백도 나왔습니다.

강나현 기자입니다.

[기자]

지극히 한국적인 듯 보이는 이 영화를 통해 미국사회는 맨얼굴을 들여다보기 시작했습니다.

미국 '워싱턴 포스트'는 '기생충'은 미국의 이야기라고 썼습니다.

영화적인 완성도에 그치지 않고 기생충이 전한 가볍지 않은 메시지에 주목했습니다.

[봉준호/감독 (2019년 10월) : 이 거대한 자본주의 세계에서 하루하루 살면서 계급 이야기를 안 하면 오히려 그게 더 이상할 거 같아요.]

한국에서 상위 1%가 전체 부의 25%를 차지한다면 미국은 그 1%가 전체의 39%를 장악하고 있다고 꼬집었습니다.

실제 한국보다 미국 사회 불평등이 훨씬 심각하다며, 미국은 건강보험 등 복지제도 역시 한국보다 잘 갖춰지지 않았다고 언급했습니다.

뉴욕타임스 역시 '기생충' 열풍을, 미국의 자본주의 상식에 금이 갔다는 증거라 봤습니다.

열심히 노력해 부자의 행동을 잘 익히면 위로 올라갈 수 있다 믿어왔지만 가난한 개인이 아무리 발버둥쳐도 더 나은 계급으로 절대 올라갈 수 없다는 사실을 보여줬다는 겁니다.

능력과 상관없이 반지하 가족 삶에 들러붙어 버린 냄새는 그 상징이 됐습니다.

그러면서 지금까지 미국 대중문화가 제대로 비추지 않고 애써 외면한 현실을 봉 감독이 대신 풀어냈다고 비판했습니다.

[봉준호/감독 (2019년 10월) : 이 영화의 부자들도 기생충이다. 노동의 측면에서 보면. 가난한 사람의 노동을 빨아먹으면서 살고 있으니까.]

(화면제공 : AMPAS)

(영상디자인 : 김윤나 / 영상그래픽 : 한영주)

◆ 관련 리포트

미국서 '기생충 다시보기' 열풍…아카데미 이후 '역주행'

→ 기사 바로가기 : http://news.jtbc.joins.com/html/153/NB11935153.html

강나현 기자 , 원동주

JTBC, JTBC Content Hub Co., Ltd.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JTBC Content Hub Co., Ltd. All Rights Reserved.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