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文 대통령 “1339 콜센터 대응 능력 확대해 달라…靑, 일일상황점검회의 진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세계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의료기관인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현장점검 전 마스크를 쓰고 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은 28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된 두 번째 확진 환자를 치료 중인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을 전격 방문했다. 감염에 대한 국민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한 행보로 관측된다. 정세균 국무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에 있는 우리 국민을 이송하기 위한 전세기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문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지금까지도 그렇고 앞으로도 콜센터에 문의하는 수요가 높아질 텐데 충분히 응대할 수 있도록 질병관리본부 콜센터 1339의 대응 능력을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 조속히 시행해 달라”고 지시했다고 한정우 청와대 부대변인이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는 1339 콜센터 상담원을 추가 배치해 운영하기로 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중국을 방문한 기록이 있는 환자가 호흡기 증상으로 병원을 방문할 경우 반드시 관할 보건소에 연락하도록 의료기관의 적극적인 협력을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또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주재로 일일상황점검회의를 매일 진행하도록 했다. 청와대는 이에 따라 위기단계가 ‘경계’로 격상됨에 따라 중앙사고수습본부를 가동하고 중앙방역대책본부를 지원하는 등 정부 대응을 강화하도록 했다. 만약 ‘심각’ 단계로 올라가게 될 경우 범정부적 총력 대응체제를 위해 중앙재단안전대책본부를 운영할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14일부터 23일까지 중국 우한을 방문한 입국자 3000여명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시행하기로 했다. 외국인의 경우 법무부와 경찰청으로부터 협조를 받아 조사할 방침으로 알려졌다.

세계일보

문재인 대통령이 28일 오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대응 의료기관인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관련 설명을 듣고 있다. 청와대 제공


우한에 고립된 우리 국민을 이송하기 위한 전세기도 배치될 예정이다. 정 총리는 “중국 정부가 우한시와 그 주변 지역을 사실상 봉쇄했고, 고립돼 있는 우리 국민들께서 정부의 지원을 요청해왔다”며 “재외국민 보호라는 국가의 의무를 이행함에 있어 한치의 소홀함이 없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이분들께서 현지에서 이송되고 국내에 머무르시는 동안 감염증이 유입되거나 확산되지 않도록 방역 대책을 철저히 수립하겠다”며 “중국에 마스크, 방호복 등 의료구호 물품을 전세기편으로 전달하는 등 협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여야는 중국과 관련된 정부의 대책 방안에 온도차를 보였다.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는 “‘어려울 때 친구가 진짜 친구’라는 말이 있다”며 “이런 상황일수록 한중 양국 국민의 혐오를 부추기는 행동은 자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과 우리는 앞으로 오랜 세월을 함께 돕고 살아가야 할 소중한 친구다. 지금 어려움에 빠진 중국 국민들에게 따뜻하게 손을 내밀어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며 “국내 방역이 당면한 최우선 과제이겠지만 보다 넓은 시각으로 한중관계의 미래를 내다보는 정부의 노력도 필요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호소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심재철 원내대표는 “(중국 여행객 입국을 금지하라는) 청와대 국민 청원이 이미 50만명에 육박했다. 그런데도 청와대는 말이 없다”며 “중국 정부의 눈치를 보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메르스 사태’ 때 야당 대표이던 문 대통령은 ‘박근혜 청와대가 콘트롤 타워가 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제 문 대통령이 그 말을 실천해야 할 때”라고 덧붙였다.

한편 문 대통령은 자신의 생일을 맞아 축하 서한을 보낸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에게 답신으로 “축하 서한 대한 감사와 함께 중국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노력을 평가하고 조속한 수습을 기원하면서 우리 정부도 필요한 지원과 협력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보냈다고 한 부대변인이 전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번 코로나바이러스 사태가 시 주석의 방한 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정상회담과 직접 연관이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답했다.

김달중·최형창 기자 dal@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