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다당제 vs 일당체제…‘4+1 협의체’ 덕 본 전북의 선택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야권, 4+1협의체 체제서 전북 국가예산 최대 확보

민주당, 문재인 대통령 통해 전북 발전 견인해야

뉴스1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 및 패스트트랙 관련 여야 4+1 협의체 원내대표급 회동에서 참석자들이 나란히 서 있다. 왼쪽부터 윤소하 정의당 원내대표, 유성엽 대안신당 창당준비위원장, 이인영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조배숙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김관영 바른미래당 최고위원. 2019.12.8/뉴스1 © News1 이종덕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북=뉴스1) 김동규 기자 = 오는 4월15일 총선에 임하는 전북 정치권이 ‘다당제’ 또는 ‘일당체제’ 구도에 주목하고 있다.

야권 지지층은 총선 결과 다당제로 재편되기를 선호하고 있는 반면 여권은 일당체제를 구축해 문재인 정부의 성공과 전북의 발전을 견인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북은 지난해 기대이상의 국가예산을 확보하면서 다당제의 효과를 톡톡히 봤다. 실제 정부 예산안에는 전북 예산이 상당수 삭감되면서 2년 연속 국가예산 7조원 이상 확보에 빨간불이 들어왔었다.

송하진 전북도지사와 우범기 정무부지사를 비롯한 예산팀이 국회와 중앙부처를 다니며 국가예산 확보에 주력했으나 힘이 부친 모습이었다.

전북의 국가예산의 실타래는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풀리기 시작했다. 국회가 패스트트랙으로 혼란에 빠지면서 자유한국당을 제외한 4+1협의체가 구성되면서다.

더불어민주당과 바른미래당, 정의당, 민주평화당, 대안신당이 4+1협의체에는 김관영, 박주현, 조배숙, 유성엽 의원 등 전북 출신 국회의원들이 다수 활동했다.

4+1협의체는 정부 예산안을 심사하면서 삭감됐거나 반영되지 못한 전북의 예산을 상당수 살려냈다. 이 덕분에 전북은 사상 최대인 국가예산 7조6058억원을 확보할 수 있었다.

야권은 "다당제가 있었기에 전북이 사상 최대의 국가예산을 확보할 수 있었다“며 ”21대 국회도 다당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반면 민주당은 입장이 다르다. 새만금국제공항 예비타당성 면제와 군산형일자리 창출, 전주 탄소산업 등 전북이 새로운 미래 산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된 배경은 문재인 정부가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본다.

따라서 21대 총선에서 10석 모두를 석권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힘을 실어 주고 전북 발전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4월15일 전북에서 치러질 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북 유권자들의 선택에 관심이 모아지는 이유다.

뉴스1 전북취재본부의 의뢰로 조원씨앤아이가 1월13일부터 19일까지 실시한 10개 선거구 다자대결 결과를 보면 민주당 후보가 모두 야권 후보들을 앞섰다.

정동영 평화당 대표, 4선의 조배숙 의원, 3선의 유성엽 의원, 재선의 김관영 의원 등 4+1협의체로 활동하며 전북의 국가예산 확보에 1등 공신들이 모두 민주당 후보에 뒤지는 결과가 나왔다.

야권의 한 관계자는 “현재 민주당과 문재인 대통령에 밀리는 분위기는 맞다”면서도 “총선이 다가오면 새로운 이슈가 생길 것이고 도민들이 인물을 보고 평가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kdg2066@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