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중국, 16시간 지나 한중 2+2 대화 결과 발표…"북러, 관계발전 필요"(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러 정상회담 결과 의식해 뒤늦게 발표한 듯

"한반도 문제, 우리 방식으로 건설적 역할 지속"

뉴스1

김홍균 외교부 1차관과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이 18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중 외교안보대화에 앞서 참석자들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장바오췬 중국 중앙 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 김홍균 1차관,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 2024.6.18/뉴스1 ⓒ News1 허경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이징=뉴스1) 정은지 특파원 = 중국이 한중 간 차관급 2+2 외교안보 대화 사실을 하루 지나 공개했다. 이번 회의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북한 방문 및 북러 정상회담과 맞물려 개최된 만큼, 북러 측의 회담 결과를 의식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중국 외교부는 19일 오후 4시 24분(한국시간 오후 5시 24분)에 한중이 첫 차관급 외교안보 2+2 대화를 개최한 사실을 홈페이지에 게재했다. 이는 우리 측 발표 시간 대비 약 16시간 늦은 것이다.

서울에서 개최된 이번 회의에 우리 측은 김홍균 외교부 제1차관을 수석대표로 이승범 국방부 국제정책관이, 중국 측은 쑨웨이동 외교부 부부장(차관급)을 수석대표로 장바오췬 중앙군사위 국제군사협력판공실 부주임이 각각 참석했다.

중국 외교부는 "양측은 한반도 문제에 대해 입장을 교환했다"며 "중국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것이 한국과 중국을 포함한 모든 국가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는 점을 강조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한반도 정세 변화의 맥락과 문제는 명백하다"며 "상황을 냉각시키고 대립의 심화를 피하며 정치적 해결의 큰 방향을 견지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은 그동안 시비곡직(옳고 그름)에 따라 입장을 결정해 왔으며 자신의 방식(自己的方式)으로 한반도 문제에서 건설적 역할을 계속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중국이 북러 정상회담 개최에 앞서 우리 측과 만나 '중국식 대응'을 강조한 것은 양국 간 밀착을 겨냥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중국은 이달 초 한미일 외교차관 회의 후 "사안 자체의 시비곡직과 자신의 입장에 따라 한반도 사무를 처리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외교부에 따르면 전일 한중은 외교안보 대화를 통해 각국의 외교 안보 정책을 소개 하고 한중 관계와 공동 관심사인 국제지역 문제에 대해 솔직하고 심도있는 의견을 교환했다.

외교부는 "중국은 대만을 비롯한 중국의 핵심 이익과 주요 관심사에 대해 엄정한 입장을 표명하고 한국 측에 적절한 처리를 요구했다"며 "한국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존중한다는 입장에 변화가 없음을 거듭 말했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은 공동, 종합, 협력, 지속 가능한 안보관을 제창하고 진정한 다자주의를 실천하며 각국의 합리적인 안보 우려를 존중하고 대화와 협상을 통해 글로벌 안보 협력을 촉진하며 패권주의, 일방주의, 강권정치를 반대한다고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중국과 한국은 경제 세계화의 수혜자로 공동으로 세계 공급망 안정을 유지해 경제 문제의 정치화 및 안보화에 맞서고 다양한 형태의 보호무역주의와 '울타리 쌓기'에 반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외교부는 한중 외교안보 대화에서 우리 측이 북러 간 교류에 대해 언급한 데 대해 "북러는 우호적이고 가까운 이웃으로 교류·협력과 관계 발전의 필요가 있다"며 "이와 관련한 고위급 교류는 두 주권국가 간 양자 일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중 간 첫 차관급 외교안보대화 개최는 양국 관계 발전의 필요성에 따라 일찍이 합의한 것으로 다른 나라의 교류와는 연관이 없다"고 덧붙였다.

우리 측 보도자료를 보면 쑨웨이둥 외교부 부부장은 조태열 외교장관을 예방한 자리에서 "러북간 교류가 역내 평화와 안정에 기여하기를 바란다"고 언급했다.

ejjung@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