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미술의 세계

진보 미술 ‘큰 기둥’ 김윤수의 얼굴상 묘비 세워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 참여미술 운동을 이끈 비평가이자 진보 미술진영의 큰 어른이었던 김윤수(1936~2018) 전 국립현대미술관장의 1주기를 맞아 그의 얼굴을 새긴 묘비가 만들어졌다.

고인이 생전 이끌었던 민족미술인협회(회장 두시영)는 지난 29일 오후 경기도 남양주시 마석 모란공원의 고인 묘소에서 묘비 제막행사를 열어 고인을 기렸다. 이날 행사에는 고인의 부인 김정업씨와 백낙청 서울대명예교수, 채희완 민족미학연구소장,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 등 지인들과 후배 미술인 70여명이 나왔다.

검은 빛 화강암 재질로 된 묘비(높이 165cm, 너비 70cm, 두께 50cm)는 중견조각가 이태호 경희대 교수의 작품이다. 앞면에는 국립현대미술관장 시절 결기있게 이야기하는 고인의 생전 모습을 투박한 선과 정교한 윤곽선이 넘나드는 기법으로 담은 인물 부조상이 ‘민족미학과 민중예술운동의 선구자 김윤수’라는 묘비명과 함께 새겨졌다. 뒷면엔 약력과 민주화 운동 이력 등을 명기한 유홍준 전 청장의 소개글이 붙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뒤이어 같은날 저녁 서울 평창동 가나아트센터 서울옥션하우스에서는 김 전 관장의 1주기 추모행사가 진행됐다. 최근 나온 <김윤수 저작집>(전 3권·창비)의 출간을 기념하는 의미도 지닌 행사장에는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김정헌 전 한국문화예술위원장,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이 추모사를 통해 고인을 회상했으며, 소리꾼 임진택씨의 창작판소리 <소리내력> 한마당이 추모공연으로 펼쳐졌다. 서울옥션하우스에서는 강요배, 강관욱, 김경인, 노원희, 신학철, 이원석 등 후배 작가 51명이 출품한 1주기 추모특별전도 개막해 다음달 5일까지 열린다. 글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사진 이태호 작가 제공

▶페북에서 한겨레와 만나요~
▶신문 보는 당신은 핵인싸!▶7분이면 뉴스 끝! 7분컷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