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 로고. |
(수원=국제뉴스) 김만구 기자 = 일반인들이 발견한 과학적 성과를 정책 결정에 활용하는 방식으로 ‘시민과학’을 육성해 혁신 수단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시민과학(citizen science)이란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않은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로 과학자와 협업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2000년대 중반 이후 급속히 성장하고 있다.
경기연구원은 21일 발표한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과학의 의미와 가능성’이란 보고서에 따르면 시민과학은 전 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 분야에서만 100~200만 명의 시민이 참여하고 있고, 매년 25억 달러 규모의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다. 새로운 생물종이나 은하계 물체를 발견하는 등 놀라운 성과도 냈다.
보고서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시민과학 프로젝트 18개 사례를 분석한 결과도 소개했다. 국내 미기록종 등재, 해안쓰레기 성상과 발생원 파악, 수원 청개구리 서식지 분포 등에서 성과를 냈는 등 정책변화와 문제해결에 기여했다고 보고서는 주장했다.
하지만, 재원 부족과 취약한 인프라, 시민과학에 대한 과학자 인식과 참여 부족, 시민참여의 지속성과 전문성, 시민과학의 가치에 대한 정책담당자의 낮은 인식 등과 같은 장애요인 탓에 국내에서는 시민과학에 대한 인식이 낮고 정책적 활용도도 미흡하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반면, EU를 비롯하여 미국호주 등 선진국은 전략과 비전을 가지고 여러 가지 목적으로 접근하고 있다면서 ‘크라우드소싱 및 시민과학법’을 제정한 미국을 사례를 들었다.
고재경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보고서에서 "기술발전과 더불어 여가시간 증대, 고학력 퇴직자 증가 등 사회경제적 요인 등을 고려할 때 미래 환경정책에서 시민과학의 중요성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시민과학 활성화를 위해 가칭 ‘시민과학 활용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전국 규모의 시민과학 시범 프로그램 시행, R&D 자금 지원, 교육훈련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국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