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청와대와 주요이슈

김정은 부산행 멀어졌지만…靑, 한-아세안 총력전 계획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최경민 기자] [the300]文대통령 오늘 귀국에 맞춰 한-아세안회의 준비 모드

머니투데이

【방콕(태국)=뉴시스】 박영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4일 태국 방콕의 임팩트 포럼에서 열린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정상회의에 참석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 및 각 국 정상들과 기념촬영을 한 후 박수를 치고 있다. 2019.11.04. since1999@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과 청와대가 오는 25~27일 부산에서 진행되는 2019 한-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 준비 모드로 전환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참석에 집착하지 않고, 내실있는 국제회의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태국을 방문해 아세안+3(한중일) 참석 등의 일정을 소화했다. 이번 태국 방문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의 깜짝 대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사실상 타결 등과 함께 공 들였던 게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홍보였다.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귀국에 맞춰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준비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회의는 아세안 10개국 정상 외에 경제인 등 1만명이 방문할 것으로 예상되는 대규모 행사다.

당초 이번 특별정상회의 관전 포인트는 김정은 위원장의 참석 여부였다. 김 위원장이 11월까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비핵화 로드맵에 합의할 경우 국제무대 데뷔의 장으로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남북경협의 추진을 공식화하는 계기로도 삼을 수 있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의 부산 방문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평가다. 국정원은 지난 4일 "12월 북미 정상회담이 북한의 목표"라고 밝혔다. 12월까지 비핵화 협상 타결이 어렵다는 의미가 되는 만큼, 김 위원장의 11월 부산행도 사실상 물건너 갔다는 분위기다.

청와대는 그동안 김 위원장 답방 준비의 마지노선으로 2~3주 정도를 예상했는데 여전히 북측과 아무런 협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다. 김 위원장의 부산 방문을 위해서는 동선 조율 등을 위한 최소한의 기간이 필요한데, 이미 데드라인에 가까워진 셈이다.

'정상회의'인 만큼 김 위원장 외에 다른 의미있는 북측 인사들이 부산을 방문할 가능성도 크지 않다는 관측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김 위원장 말고 다른 북측 인사가 부산에 오는 것에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설명했다.

일단 청와대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그 자체를 내실있게 준비한다는 계획이다. 문 대통령이 집권 전반기 동안 강조해온 신남방정책에 있어 하나의 결실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신남방정책은 미국과 중국 경제에 대한 의존도가 높았던 우리 경제의 활동무대를 아세안으로 확장하기 위한 구상이다. 우리가 주도할 수 있는 경제기반을 갖추겠다는 전략에 가깝다.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역내 시장 개방, 교역 확대 기조에 못을 박고, '신남방정책 추진전략 2.0'을 내년에 발표한다는 게 청와대의 그림이다. 김 위원장이 불참한다고 하더라도 미국과 협상을 앞둔 북측을 향한 문 대통령의 '러브콜'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 역시 높다. 비핵화를 택하고, 아세안과 중앙아시아를 연결하는 '교량국가'가 되자는 제안이 될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신남방정책은 아세안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는 일본의 지배력에 대응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며 "이번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향해 아세안 진출의 확고한 기반을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최경민 기자 brow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