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기술패권’ 중국이 미국 넘나 “AI산업, 3~5년안 추월” “폐쇄적 경제로는 한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베이징 ‘한중언론인포럼’서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

“중, 빅데이터 등 발전속도 빨라”

최병일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

“기술강국 부상 비결은 시장개방뿐”

박정수 산업연구원 본부장

“한·중 4차산업 협력 성공 가능성”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내의 대표적인 중국 전문가들이 현재 미국과 중국 사이에 벌어지고 있는 기술패권 경쟁의 미래와 관련해 상반된 시각을 보여 주목을 받고 있다. 정유신 서강대 기술경영대학원장은 중국이 4차산업혁명의 핵심인 빅데이터·인공지능 분야에서 미국을 3~5년 안에 앞지를 것이라며 중국의 미래를 낙관했지만, 최병일 이화여대 국제대학원 교수(한국국제경제학회 회장)는 중국이 시장을 열지 않고 폐쇄적인 경제민족주의의 함정에 빠지면 쇠락의 길을 걸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두 학자는 지난 16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제11차 한중고위언론인포럼의 ‘4차산업혁명의 미래와 한·중 문화창조협력’ 세션에서 이런 견해를 밝혔다. <중국이 이긴다>의 저자인 정유신 교수는 주제발표에서 “중국은 겉으로만 하나였지 법·문화는 물론 언어까지 잘 통하지 않던 서로 다른 31개의 시장(성)을 인터넷·모바일로 하나로 묶어 31배의 시장으로 키웠다”며 “이미 규모 면에서 미국을 뛰어넘는 오투오(online to offline)와 공유경제시장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기술경쟁력 측면에서도 “중국이 현재는 미국에 뒤처졌지만, 인공지능·빅데이터·클라우드·로봇 분야의 최근 4~5년간 논문·특허·투자·인력 면에서 발전속도는 미국보다 훨씬 빠르다”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미국은 플라스틱카드 사회인 반면에 중국은 스마트폰사회여서 빅데이터가 숫자(카드결제)뿐만 아니라 문자(SNS 텍스팅), 카메라동영상DB까지 3배나 많다”며 “인구 5배, 데이터 종류 3배, 개인정보 완화 프리미엄 1.3배를 감안하면 중국이 20배나 강하다. 이렇게 3~5년이 지날 경우 빅데이터, 인공지능 분야에서 미국을 훨씬 앞지를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토론자로 나선 최병일 교수는 중국의 기술강국 부상에 신중론을 폈다. <미중전쟁의 승자, 누가 세계를 지배할 것인가>의 저자인 최 교수는 “미-중 경제전쟁으로 안보논리가 무역·투자를 가로막고 기술에서 국적을 따지는 뉴노멀의 시대가 됐다”며 “무역분쟁이 정상적 합의를 하지 못하고 갈등과 분열의 길로 가면 기술생태계는 미국 캘리포니아의 실리콘밸리와 중국 선전의 실리콘밸리라는 두 개의 생태계로 쪼개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는 “지금까지 신흥국이 기술강국으로 부상한 비결은 딱 하나였다. 언젠가는 전 세계 시장에 통하는 방식으로 시장을 열어젖혀야 한다는 것”이라며 “그렇게 못하면 결국에는 안방에만 통하는 기술과 표준이 되면서 쇠락의 길로 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90년대 정보통신기술(IT) 붐 때 일본은 이미 세계 두 번째로 커진 자국 시장을 지키겠다며 일본에만 통하는 표준을 만들었다가 결과적으로 아이티 분야에서 한국에 밀렸다”며 중국의 엄청난 시장규모만 믿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국이 폐쇄적 경제민족주의에 빠지지 말고 더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룰을 만드는 국가가 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국 학자들은 4차산업혁명과 관련해 한·중 협력을 강화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박정수 산업연구원 서비스산업연구본부장은 “중국은 4차산업혁명과 관련된 기반기술의 개발이나 비즈니스모델의 적용에서 이미 상당 수준의 성과를 이뤘다”며 “빅데이터의 활용이나 인공지능의 연구개발 성과는 물론 알리바바, 위챗페이, 디디추싱 등 다양한 비즈니스모델이 시장에 제공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중 양국의 협력은 필요성뿐만 아니라 성공 가능성도 있다”면서 몇 가지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그는 글로벌 기술표준 선점의 중요성이 매우 큰 만큼 한·중 양국이 기반기술 및 글로벌 표준 확보를 위해 협력해야 하며, 특히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에서도 업종과 가치사슬 단계에 따라 필요한 협력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정유신 교수는 중국 내수시장의 서비스·소비재부문 등에서 신기술을 활용한 양국 간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중국의 고령화와 한국의 의료기술을 감안할 때 두 나라 간 의료바이오 협력도 상당한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박현 기자 hyun21@hani.co.kr

▶동영상 뉴스 ‘영상+’
▶한겨레 정기구독▶[생방송] 한겨레 라이브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