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에는 영국 중앙은행인 영란은행(BOE) 관계자가 "이처럼 빠른 속도의 기업부채 증가는 갑작스러운 조정을 불러올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금융연구원 역시 글로벌 금융시장의 잠재 불안 요인으로 기업부채 증가를 꼽았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으로 완화적 통화정책이 이어지면서 많은 자금이 기업으로 유입됐는데 이 중 상당액이 재무적으로 취약한 기업에 집중돼 있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는 지난해 기업부채가 19조8000억달러로 2008년의 4.4배에 달한다.
한국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기업부채는 101.7%로 전년보다 3.4%포인트 상승했다. 조사 대상 43개국 중 16번째로 높은 수치다. 기업 투자는 줄어드는데 부채가 늘었다는 것은 이익 창출력 감소로 재무구조가 나빠졌음을 의미한다. 기준금리가 역대 최저인 1.25%까지 떨어졌고 추가 인하도 예상되는 만큼 기업의 '빚 경영'은 더 가속화할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저금리가 영원히 계속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금리가 상승 기조로 돌아서는 시점에 과도한 기업부채는 연쇄적 위험을 야기할 수 있다. 일부 금융회사는 저금리로 돈을 빌려 고위험 상품에 투자하기도 한다. 저금리 정책이 투자·소비 진작 대신 리스크만 높인다면 큰일이다. 강화된 모니터링을 통해 기업부채 위험 관리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