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정부 '脫원전 정책' 맞대응 위해 서울대, 원자력 싱크탱크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자핵공학과 19일 공식 발표

서울대 원자핵공학과가 원자력 정책 연구소인 '원자력 미래기술·정책연구소'를 설립한다. 이 연구소는 정부 탈(脫)원전 기조에 대응해 원자력 학계의 입장을 대변할 싱크탱크 역할을 맡는다.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는 오는 19일 학과 창설 60주년 기념식에서 학생, 연구원, 동문 등을 모아 놓고 '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 설립 계획을 공식 발표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학과장인 심형진 교수는 연구소 설립 배경에 대해 "정치인들이 탈원전 정책을 수립했고, 그 과정에서 원자력 전문가들의 의견은 무시됐다"며 "국민에게 원자력의 미래 비전을 제시할 싱크탱크가 없었던 것이 그 원인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원자력미래기술·정책연구소'는 원자핵공학과가 주축이 되는 첫 연구소다. 이달 말 연구소 설립에 대한 제안 서류를 서울대에 제출할 계획이다.

설립 비용은 동문들로부터 후원받을 예정이다. 원자력공학과(현 원자핵공학과) 1기(1959년 입학) 출신 원로들도 작년 11월 "정부의 급속한 탈원전 정책으로 인해 우리나라의 원자력 학계에 회복 불가능한 붕괴를 초래하지 않을까 염려된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서울대 원자핵공학과는 16일 현재 2018년 입학생 32명 중 6명이 자퇴했다. 원자핵공학과 정시모집 입학 경쟁률도 2016년 5대1, 2017년 4.67대1이었으나 탈원전 정책 이후인 2018년 3.91대1, 2019년 3.63대1을 기록했다. 취업률 역시 2017년 51.7%에서 지난해 32.2%로 떨어졌다.





[서유근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