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미중 무역' 갈등과 협상

"미·중 무역 협상 막판 결렬 원인은 中 지방정부 보조금"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BS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인상 계획을 밝히기 전 베이징에서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중국 지방정부의 산업보조금을 놓고 양국이 첨예하게 대립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사실을 보고받은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으로 돌아서자 중국도 내일(10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협상대표단의 규모를 축소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미국은 지난 1일까지 베이징에서 열린 협상에서 중국이 받아들이기 어려운 요구를 막판에 들이민 형국이었다고 아사히신문이 외교 소식통의 말을 인용해 보도했습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2천억 달러 상당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오는 10일부터 10%에서 25%로 올릴 예정이라고 관보를 통해 공지했습니다.

중국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그때까지 진행된 협상에서 중국은 국유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원을 시정하라는 미국의 요구에 어느 정도 응할 뜻을 표명했습니다.

현안의 90%는 합의에 도달한 상태여서 중국 측은 합의 가능한 범위 내 조기타결을 희망했습니다.

그러나 4월 30일과 5월 1일 베이징 고위급회담에서 미국은 중국 지방정부가 현지 기업에 주는 산업보조금에 대해서도 시정을 요구했고, 중국은 지방의 보조금은 경기대책 측면도 있어 미국의 시정 요구를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거부했습니다.

미국은 또 중국 밖으로의 데이터 반출을 규제하는 사이버 보안법 시정과 외국자본에 기술이전 강요를 금지한 중국의 외국상업 투자법 이행상황을 미국이 감시하는 시스템 도입 등도 요구했습니다.

중국은 내정간섭과 다름없는 요구라며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른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은 미국의 이런 요구를 합의문에 적지 않고 국내법 개정 등을 통해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미국 측은 중국이 그동안의 입장에서 후퇴해 합의내용 이행을 회피하기 위한 구실을 만든 것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고 아사히는 전했습니다.

▶PLAY! 뉴스라이프, SBS모바일24 개국
▶[인-잇] 사람과 생각을 잇다
▶네이버 메인에서 SBS뉴스 구독하기
※ ⓒ SBS &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