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20일 첫 결제 ‘수수료 0%’ 제로페이…카드 사용자 마음 돌리는게 첫 과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하도·지하철역 등 1만곳 시범실시

참여율 저조·‘은행 팔꺾기’ 견제엔

시 “두달 채 안돼…지나친 비판 일러”

편의점·프렌차이즈 등도 합류 예정

밴사와 포스기 연동 작업도 진행 중

카드 앞지를 ‘파격 혜택’ 제공이 관건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세·소상공인 결제수수료를 0%로 낮춘 제로페이의 서울지역 시범실시가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가입률이 너무 낮다’ ‘은행들 팔꺾기다’라는 비난이 적지 않지만 서울시 등은 “과장된 지적들이 많고, 핀테크의 전범을 보일 수 있다”며 추진에 힘을 더하는 분위기다.

드디어 첫발 떼는 ‘제로페이’

서울시는 20일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와 인근 상가에서 박원순 시장과 상인 등이 참여한 가운데 제로페이 시범실시 개시 행사를 진행한다. 이 자리에서는 물건 구매 뒤 제로페이 참여 업체들의 앱을 열어 정보무늬(QR코드)를 촬영하고 금액을 입력한 뒤 전송해 결제하는 시연 등이 이뤄질 예정이다.

올해 지방선거 때 박 시장 공약으로 제시된 제로페이는, 구매대금을 소비자 계좌에서 가맹점 계좌로 바로 이체해 카드사들이 떼가는 수수료를 없앤 일종의 직거래 플랫폼이다. 올해 중반 소상공인 문제가 부각되면서 ‘전국구 이슈’로 떠올랐고, 중소벤처기업부와 경남도 등 광역자치단체, 은행들과 간편결제 사업자들이 잇따라 합류했다. 하루 평균 5300만건·2조4천억원(2017년 기준)에 이르는 카드결제 비중을 낮춰야 한다는 공감대도 바탕에 있었다.

한겨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은행 팔꺾기? 참여 저조?…계속된 견제

7월 업무협약서 체결과 함께 제로페이 추진이 본격화됐지만 비판도 많았다. 은행들에 계좌이체 수수료 포기를 강요하고, 관 주도 사업인데다 가맹점 확보도 지지부진하다는 지적이 대표적이다.

이에 서울시 쪽은 “은행들 스스로 참여했고, 계좌를 활성화하고 결제 뒤 송금 때까지 이자수익도 얻을 수 있다. 또 두달도 안 되는 기간 동안 모집한 가맹점 수를 두고 사업이 회의적이라는 비판은 지나친 비약”이라고 반박한다. 박 시장을 흠집내려는 정치적 공격이라는 냉소적인 반응도 있다.

하지만 제로페이를 둘러싼 여건이 좋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특히 상징성이 큰 카카오페이의 시범사업 불참 선언이 뼈아팠고, 중기부가 꾸린다던 소상공인 간편결제 추진사업단 구성과 출범이 늦어지면서 뒷말이 나오기도 했다. 또 지난달 금융위원회가 연매출 5억~10억원(1.4%), 10억~30억원(1.6%) 가맹점 카드수수료율을 낮추겠다고 밝혀, 제로페이(일반가맹점 1.5%)의 차별성이 약해진 점도 결과적으로 제로페이에는 타격이다.

밴사와도 손잡아…소비자 확보가 관건

제로페이는 20일 지하도·지하철역 상가 등을 위주로 1만여곳에서 시범실시에 들어가고, 내년 3월께 6대 편의점(씨유·지에스25·세븐일레븐·이마트24·미니스톱·씨스페이스)과 파리바게뜨·롯데리아·피자헛·엔제리너스·카페베네·이디야·교촌치킨·멕시카나 등 프랜차이즈 업체들로 확대될 전망이다. 서울 이외 지역에서도 이즈음 서비스가 첫발을 뗄 예정이다.

가맹점 확보에는 신용카드를 받는 매장마다 깔린 포스(POS)기와의 연동이 큰 힘이 될 전망이다. 밴(VAN)사가 관리하는 포스기는 신용카드 생태계의 일원인데, 기존 포스기와 간편결제가 이원화되면 매출관리와 세무처리에 번거로움이 크다는 점이 고려됐다. 결국 밴사와도 연대해 가맹점주의 일원화된 결제관리와 세무처리를 돕겠다는 것인데, 중기부가 한국신용카드밴협회와 소상공인에 한해 수수료를 면제하는 협상을 진행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성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관건인 소비자 확보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제로페이에 제공되는 (체크카드 30%, 신용카드 15%보다 많은) 소득공제 40%는 피부로 와닿는 혜택은 아니고, 오히려 카드사에서 제공하는 통신비, 커피전문점, 마일리지 등이 소비자가 즉각적으로 체감하는 혜택”(골든브릿지투자증권 김장열 연구원)이기 때문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은행별, 결제사별로 소비자 유인을 위한 포인트 적립과 추가 서비스 제공 등 마케팅을 진행하게 될 것이고, 근거리무선통신(NFC)과 마그네틱보안전송(MST) 방식 등으로 결제 방법을 다양화해 소비자 편의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순혁 기자 hyuk@hani.co.kr

◎ Weconomy 홈페이지 바로가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home01.html/
◎ Weconomy 페이스북 바로가기: https://www.facebook.com/econohani/

[ 신뢰도 1위 ‘한겨레’ 네이버 메인 추가]
[블록체인 미디어 : 코인데스크] [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