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MK현장] `국가부도의 날` 김혜수의 도전…"IMF, 현대사 바꾼 분기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타투데이

김혜수.사진|강영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양소영 기자]

배우 김혜수가 경제전문가로 변신, IMF의 기억을 담은 ‘국가부도의 날’로 돌아온다.

19일 오후 서울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영화 ‘국가부도의 날’ 시사회 및 기자간담회가 열렸다. 최국희 감독과 배우 김혜수 유아인 허준호 조우진이 참석했다.

‘국가부도의 날’은 국가 부도까지 남은 시간 일주일, 위기를 막으려는 사람과 위기에 베팅하는 사람, 그리고 회사와 가족을 지키려는 평범한 사람까지, 1997년 IMF 위기 속 서로 다른 선택을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최국희 감독은 “시나리오 받고 소재가 새로웠다. IMF에 대한 기억이 저에게 남아있다. 그 시대의 이야기에 도전해보고 싶었다”며 “경제 용어도 나오고 일상 생활에서 쓰지 않지만, 영화가 그런 용어를 100% 설명하지 않아도 관객들이 인물들의 감정을 따라갈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게 중요한 지점이었다. 어려운 용어에 대한 부담감 없었다”고 말했다.

스타투데이

최낙희 감독.사진|강영국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영화 ‘타짜’ ‘도둑들’ ‘관상’, 드라마 ‘직장의 신’ ‘시그널’ 등 매작품마다 솔직하고 당당한 캐릭터로 관객들을 사로잡은 김혜수가 전문성과 확고한 신념을 지닌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 한시현으로 분했다. 여기에 유아인 허준호 조우진, 그리고 프랑스 배우 뱅상 카셀이 의기투합했다.

김혜수는 “한시현은 초지일관 원칙을 갖고 움직이는 인물이다. 고루하지 않게, 관객들에게 진정성 있게 다가갈 수 있도록 노력했다”고 말했다.

극중 경제 용어와 영어 대사를 소화한 김혜수는 “경제 전문가이다보니 당연히 수반되어야 할 것들이었다. 쉽지 않았다. 저에게도 생경한 단어들로 구성한 문장들이었다. 이 사람 직업내에서 생활 용어로 체화해야 했다”며 “영어 대사도 우리 말로 된 경제 용어를 체화하는 만큼 비슷한 정도로 어려웠다. 일상적인 용어가 아니라 충분히 시간을 갖고 연습을 했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김혜수는 함께 호흡을 맞춘 배우들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김혜수는 “영화를 보면 각 면면이 인물의 구조가 함께 따로 각자의 몫을 다해야 한다. 조우진 같은 경우는 저와 대립각을 이루며 지속적으로 치고받는 연기를 했다. 조우진이 저력 있는 배우라는 걸 알았지만 현장에서 매번 감탄하면서 감동하면서 호흡을 맞췄다. 좋은 에너지와 긴장감을 지닌 배우다”라고 칭찬했다.

계속해서 “자기 연기만 하는게 아니라 상대 배우의 시너지까지 끌어내는 배우다. 조우진 덕분에 한시현도 도움을 받고 살았다. 감사하다”며 “덧붙이자면 영화에서 많이 만날 수 없는 구조에도 유아인은 생동감 있는 폭발력 있는 에너지가 관객들을 작품 속에 진입하게 만든다. 어떤 장면에서는 확인할 수 없는 구조가 있다. 영화 전면을 봤을때 배우들의 균형같은 것에 도움을 줬다”고 설명했다.

또한 김혜수는 “허준호 선배님은 제 촬영이 아닐때 모니터로 선배님의 연기를 봤다. 특별한 인상을 받은 건 정말 모든 걸 내려놓고 힘을 뺐지만 모든 드라마가 담겨있었다. 그런 진정성이 공감대를 불러일으켰다”고 털어놨다.

마지막으로 김혜수는 “현대사 가운데 우리 삶을 바꾼 분기점이 된 기간”이라며 “2018년 현재를 살아가고 있지만 영화의 메시지가 현재도 유효하다. 많은 것을 환기할 수 없지만 이 영화를 통해 건강하고 유의미한 관객들이 나눌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가부도의 날’은 28일 개봉된다.

skyb1842@mk.co.kr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