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입항부터 통관까지 일사천리`…스마트항만 法·제도지원 시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2018 세계지식포럼 부산 ◆

매일경제

15일 열린 '2018 세계지식포럼 부산'에서는 부산시가 스마트시티와 함께 바다를 접하고 있는 부산의 지리적 특징에 맞춰 스마트포트(항만) 조성에 힘을 쏟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무엇보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항만 개발에서 속도전이 펼쳐지고 있는 가운데 부산이 경쟁 도시보다 한발 앞서가야 한다는 것이다.

양창호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은 이날 '스마트 항만 도시 부산'이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전 세계 허브 항만도시들은 물류를 보다 빠르게 처리하는 속도전을 벌이고 있다"며 "대한민국 최대 항만도시 부산이 속도 경쟁에서 이겨 글로벌 항만도시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항만 구축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이 스마트 시티를 어떻게 추진해야 하는가'를 물었을 때 스마트 항만을 빼놓고는 이야기하기 어렵다"며 이같이 밝혔다.

양 원장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전 세계 항만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며 "중국은 도시 전체가 자유무역지구화돼 있고, 별다른 규제 없이 선박 화물이 입항해 곧바로 내륙 창고까지 들어가 통관 절차를 진행한다. 각종 규제를 받고 있는 우리나라 항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말했다.

양 원장은 또 "글로벌 허브 항만의 자동화 순위를 매겼을 때 싱가포르가 가장 앞서 있고, 중국 상하이와 칭다오, 네덜란드 로테르담, 미국 롱비치항(LBCT)이 싱가포르를 뒤쫓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 부산항은 자동화 정도가 싱가포르의 절반 수준에 그치고 있다"고 진단했다.

양 원장은 "부산도 글로벌 허브 항만의 스마트화 추세를 따라잡아야 한다"며 "배후항만에 대한 불필요한 규제 개선과 자율운행 선박 입출항에 관한 관련 법 제정 등 제도적인 지원도 동반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별취재팀 = 김명수 지식부장(팀장) / 김경도 전국취재부장 / 배한철 영남본부장 / 박동민 기자 / 박용범 기자 / 신현규 기자 / 윤원섭 기자 / 서대현 기자 / 최승균 기자 / 우성덕 기자 / 김세웅 기자 / 김희래 기자 / 송민근 기자 / 김유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