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고령 이산가족 北고향 단체방문 추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고령 이산가족 단체 북한 고향 방문 사업이 곧 가시화할 전망이다. 또 기업인의 북한 지역 경제 시찰도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11일 당정은 '이산가족 방북단'의 현실화 가능성에 관해 한목소리로 전향적인 추진 의사를 밝혔다.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 현장에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고령 이산가족의 고향 방문과 관련해) 남북정상회담뿐 아니라 계기가 있을 때마다 북측에 강하게 촉구하고 북측에서도 조금씩 이해를 높여 나가고 있다"며 "가급적 이른 시일 내에 성과가 나올 수 있도록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이와 같은 조 장관의 답변은 이날 박병석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령 이산가족 고향방문단은 이른 시일 내에 적극 추진한다는 것이냐"고 질의한 데 따른 것이다.

박 의원은 매일경제와 통화하면서 고향 방문 사업의 실질적 타진 가능성에 관해 "현재 실현 가능성이 아주 높다"면서도 "(일단 이산가족 고향 방문은 현실화되는 것이지만) 다만 국제사회와 협의를 거치다 보면 방문 내용상 한계가 제시될 것"이라고 밝혔다. 방문의 구체적 내용에 제약이 걸릴 수 있다는 얘기다.

북한은 이산가족 상봉의 실질적 제반 여건이 부족해 역대 이산가족 상봉은 대개 100명 단위의 작은 규모에 만족해야만 했다. 북한이 북측 상봉자들을 대상으로 사상 교육을 해야 하는 등 내부 절차상 어려움으로 큰 규모 단위의 상봉을 부담스러워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남측 이산가족들의 개별적 고향 방문이 현실적으로 어렵더라도 합동 방문은 가능할 전망이다.

인도적 차원에서 고령 이산가족들이 이북 땅을 밟고 합동 제사 등을 치를 수 있게 하자는 취지다.

박 의원이 이날 질의를 통해 '개방 가능한 곳'이라고 구체적으로 명시한 평양·개성·원산·삼지연·금강산이 이산가족의 합동 방문지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산가족 고향 방문 사업 추진이 본격화되는 배경에는 9·19 남북공동선언이 있다. 지난달 21일 조 장관은 "합의서에 담지는 못했지만 가능하다면 앞으로 우리 이산가족들이 고향까지 방문할 수 있는 부분도 적극 협력해 나가자고 정상회담에서 양 정상 간 서로 논의했다"며 "남북은 이번에 금강산 이산가족면회소를 하루빨리 완전히 개·보수하고 정상화해서 이산가족 상시 상봉이 이뤄지도록 하자는 데 합의했다"며 19일 채택된 평양 남북공동선언 내용을 밝힌 바 있다.

한편 조 장관은 이날 아울러 남북 경협이 본격화하는 것에 대비해 경제 시찰도 북측과 협의 중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개성공단 기업인들의 개성공단 방문을 허가해야 한다는 박 의원의 지적에 "개성공단 입주 기업이 현장 점검하는 문제도 (개성공단) 재개와는 별개로 이뤄지도록 북쪽과 협의 중"이라며 "향후 제재가 해제돼 경협을 본격화하는 것도 북쪽과 협의 중"이라고 답했다.

[윤지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