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ETRI '위성 주파수 자기 간섭제거기술' 개발 성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용효율 최대 2배 향상…더 많은 채널 확보 가능"

연합뉴스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주파수 사용효율을 최대 2배까지 높일 수 있는 위성통신 주파수 자기 간섭제거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위성통신의 경우 데이터 송신 중심 기지국에서 신호를 보내는 주파수 대역(스펙트럼)과 수신 단말에서 중심국으로 응답할 때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스펙트럼)이 서로 다르다.

주파수가 겹치는 현상을 막기 위해서다.

ETRI 연구진은 신호가 중첩되더라도 단말 신호를 추출할 수 있는 기술을 구현했다.

이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의 자기 간섭제거율과 전송속도를 가진다고 ETRI 측은 설명했다.

연합뉴스


상·하향 링크 주파수를 다르게 사용하는 기존 위성통신 시스템보다 2배 많은 추가 채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성통신 중계기 사용 비용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다.

자기 간섭제거기술이 탑재되지 않은 시스템에선 통신이 불가능해서 보안이 필수적인 국방 통신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도 있다.

ETRI는 지난달 말 위성 방송 국제 표준 기반 소형 단말 모뎀(VSAT) 장비와 'Ka' 대역(20∼30㎓) 천리안 위성을 이용해 기술 검증을 마쳤다.

오덕길 ETRI 위성기술연구그룹 프로젝트 리더는 "위성통신 시스템 주파수 사용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는 핵심기술을 확보했다"며 "국내 위성 장비 제조업체 시장에서 외산 장비 의존도를 줄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기술 개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일 위성채널 전송 및 주파수 공유기술 사업'의 하나로 3년간 진행했다.

walde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