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조선 의학서 ‘의방유취’ 번역 첫걸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사단법인 세종대왕기념사업회가 조선 초기 의학서 ‘의방유취’의 첫 번째 번역 책인 ‘국역 의방유취-총론’을 출간했다고 7일 밝혔다. 이경록 연세대 의사학과 겸임교수가 번역했으며, 방대한 종합 의학서적을 우리말로 옮기는 작업도 첫걸음을 떼게 됐다.

의방유취는 세종이 1445년 편찬을 명해 3년 뒤 완료한 방대한 종합 의학서적이다. 허준이 ‘동의보감’에 인용할 만큼 중요한 서적으로, 의학 이론을 정리한 ‘의경’과 치료법을 다룬 ‘방서’를 합친 말이다. 세종 시대에 365권으로 편찬을 마쳤지만 간행되지 못했고, 교정과 수정을 거쳐 성종 8년(1477년) 266권 264책으로 출간했다. 당시 조정은 30질을 인쇄했지만, 대부분 사라졌다. 현재 일본 궁내청에 250여권이 있고, 한독의약박물관이 권 201을 소장하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이 1990년대 일본 궁내청 소장본을 마이크로필름으로 만들어 들여왔다. 사업회는 국립중앙도서관 마이크로필름을 150책 분량으로 번역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 부담없이 즐기는 서울신문 ‘최신만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