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폭염에 아이스크림처럼 녹아내린 링컨 대통령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샌디 윌리엄스 인스타그램 캡처


미국 워싱턴주 개리슨 초등학교에 설치된 미국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의 밀랍 동상이 혹독한 폭염에 아이스크림처럼 녹아내렸다. 한낮 최고 기온이 40도에 육박하는 더위가 3일째 계속된 24일(현지시간) 그의 머리는 사라지고 왼쪽 다리는 몸통에서 분리되었으며 오른발은 덩어리만 남았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한때 링컨 동상의 머리가 떨어질듯 위태롭게 넘어가 있어서 비영리 단체 컬처럴DC(CulturalDC) 직원들이 보수작업을 하려고 시도했지만 쉽지 않아 다시 부착하기 위해 아예 떼어냈다. 링컨 대통령의 동상에는 그의 머리를 고정하는 와이어 스포크(지지대)만 남아있었다.

마구잡이로 일그러진 밀랍 링컨 동상은 소셜미디어(SNS)에서 ‘밈’으로 회자됐다.

링컨 동상이 녹은 것은 이번이 두 번째다. 촛불 심지를 100번 태울 수 있는 3000파운드(1360㎏)의 밀랍이 들어간 링컨 동상은 지난해 9월 같은 장소에 설치됐다. 공식적으로 공개되기 며칠 전, 누군가 동상에 불을 붙여 녹아버린 조각상이 방치되기도 했다. 지난 2월에 링컨 동상을 복원하기 위한 예방 조치를 취했다. 심지 개수를 10개로 줄이고 방문객들에게 1~2분 동안만 불을 붙인 후 끄도록 안내했다.

리치몬드대 미술 교수인 샌디 윌리엄스 4세가 다시 제작해 설치한 이 동상은 그러나 불이 아닌 무더위에 소프트아이스크림처럼 녹아버렸다. 윌리엄스는 “밀랍의 녹는점은 워싱턴의 역대 여름 최고 기온보다 훨씬 높다”면서도 “40도 가까이 되는 날씨에 연속 방치됐을 때 어떻게 되는지를 예상하진 못했던 것 같다”고 말했다.

‘40 에이커: 캠프 바커‘라는 제목의 이 동상은 남북전쟁 당시 남부 노예제를 폐지하고 자유를 찾으려는 사람들의 피난처였던 캠프 바커가 있던 개리슨 교내에 세워졌다. 링컨 대통령은 생전에 캠프 바커를 여러 차례 방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전시 프로젝트는 남북전쟁 당시와 그 이후의 시대를 탐구하는 윌리엄스의 밀랍 인형 아카이브 시리즈의 일부다.

CulturalDC의 전무 이사이자 큐레이터인 크리스티 메이슬먼은 “지역사회가 링컨 동상을 받아들였고, 링컨 동상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으며 사람들과 역사를 어떻게 연결시키는지에 대한 토론을 촉발했다”면서 “개인적으로 이 작품은 이 장소와 링컨의 역사적 중요성뿐만 아니라 기후 변화와 관련하여 세계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한 대화를 일으킬 수 있는 훌륭한 공론장을 제공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영권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