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삐걱대는 수출…조업일수 감소 영향에 1~20일 4.8%↓(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작년 선박 집중수출에 따른 기저효과도…수입은 13.0% 늘어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6월 1∼20일 수출이 조업일수 감소와 기저효과에 따라 감소세로 돌아섰다.

연합뉴스

한국 수출(PG)



2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20일까지 수출은 303억 달러로 1년 전보다 4.8% 감소했다.

6월 수출은 10일까지는 2.0% 늘어나며 가까스로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20일까지의 속보치에서는 감소세로 전환하고 말았다.

여기에는 조업일수 감소와 선박수출에 따른 기저효과가 주된 영향을 미쳤다.

이달 조업일수는 전날까지 13.5일로 1년 전(14.5일)보다 하루 적었다.

1년 전 73억7천만달러 상당의 해양플랜트 3척 등 선박 수출이 집중된 데에 따른 기저효과도 증가세를 막는 요인이 됐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2억4천만 달러로 1년 전보다 2.2% 증가했다.

정부는 6월 한 달 수출도 이 같은 영향으로 증가세를 유지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6월 수출이 감소를 기록하면 지난 4월 18개월 만에 감소한 데 이어 2개월 만에 다시 뒷걸음치는 셈이 된다.

세계 1, 2위 경제대국인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도 향후 대중수출 등에 악재로 작용해 한국 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1∼20일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37.8%), 석유제품(67.3%), 승용차(17.5%) 등은 증가했지만 무선통신기기(-9.1%), 선박(-89.1%) 등은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28.5%), 미국(15.7%), EU(유럽연합·24.0%), 일본(12.3%) 등은 늘었고 베트남(-10.3%), 호주(-87.1%) 등은 줄었다.

수입은 1년 전보다 13.0% 늘어난 303억 달러를 기록했다. 특히 유가 상승 등 영향으로 원유(75.0%)가 높은 수준의 증가세를 보였다.

무역수지는 2천600만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rock@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