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2.28 (토)

[사설]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전문가 참여해 '핵 흔적' 조사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북한이 23일에서 25일 사이에 기상 조건을 고려해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의 핵실험장을 폐쇄하겠다고 밝혔다. 오는 22일 워싱턴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을 염두에 두고 핵실험장 폐쇄를 택일한 것으로 보인다. 북은 2006년부터 지난해까지 11년 동안 풍계리 핵실험장의 1번 갱도에서 한 차례, 2번 갱도에서 다섯 차례 핵실험을 실시했다. 풍계리 폐쇄는 앞으로의 핵실험을 막는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이 과정이 불가역적 방법으로 투명하게 진행되면 북한 비핵화의 상징적인 첫 조치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북이 지난달 노동당 회의에서 밝힌 대로 '핵무기 병기화'가 완료됐기에 더 이상의 핵실험이 필요 없게 됐기 때문이기도 하다. 북 스스로 핵실험장이 쓸모가 없어졌다고 발표했다는 점에서 풍계리 폐쇄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다. 파키스탄도 북한처럼 여섯 차례 핵실험으로 핵 보유국 행세를 하고 있다.

풍계리에 남아 있을 핵 흔적은 앞으로 북핵 검증 과정에서 폐기돼야 할 핵 물질과 핵무기가 어느 정도인지 판별해주는 하나의 판단 근거가 된다는 점에서 이렇게 폐쇄돼야 하는지 의문이다. "범죄 현장을 없애 증거를 인멸하는 것 아니냐"는 견해도 근거가 없지 않다. 그런 점에서 풍계리 핵실험장 폐쇄 현장에 외국 기자들만이 아니라 국제사회의 핵 전문가들이 들어가 현장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TV가 방송하는 '폐쇄 쇼'로는 북이 여섯 차례 핵실험에서 플루토늄, 우라늄은 얼마나 사용했는지, 폭발력은 얼마나 됐는지 알 수가 없다. 미 백악관 관계자가 말한 대로 "국제 전문가들에 의한 사찰 및 충분한 검증이 이뤄질 수 있는 폐쇄"가 풍계리 핵실험장의 문을 닫는 기본 원칙이 돼야 한다.

북의 방사능 안전 의식은 심각한 수준이다. 풍계리 핵실험장 주변에 살았던 일부 탈북자는 2006년 1차 핵실험 당시 새들이 떨어져 죽고 물고기가 떼죽음을 당했다고 증언했다. 풍계리 현장이 앞으로 한반도 방사능 재난 지역이 되지 않아야 한다.

북한 비핵화는 수많은 고비를 안고 있다. 북이 핵폭탄을 몇 개나 만들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 북의 신고가 사실인지 검증하는 것 자체가 보통 난제가 아니다. 극적인 TV 쇼도 좋지만 그에 앞서 '단기간 내 진짜 핵 폐기'에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