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연금개혁, 정권부패, 허리케인 후유증…들끓는 중미 국가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니카라과 연금개혁 반대시위로 27명 사망…국제사회 비판에 시위대 일부 석방

과테말라는 대통령 비리 규탄시위…허리케인 복구 늦은 푸에르토리코 주민 분노

연합뉴스

니카라과 연금개혁 반대 시위 도중 벽돌로 바리케이드를 쌓는 시위대[A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중미 국가들이 사회 불안과 자연재해 후유증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24일(현지시간) AP·AFP통신에 따르면 니카라과에서는 지난 18일 확정된 정부의 연금개혁 계획이 촉발한 전국적인 항의 시위와 유혈 충돌이 약 일주일간 이어졌다.

그 과정에서 지금까지 경찰관 2명을 포함해 최소 27명이 숨지고 시위 참가자 121명이 체포된 것으로 추산됐다.

이에 다니엘 오르테가 니카라과 대통령은 지난 22일 연금개혁안을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그럼에도 폭력 사태가 좀처럼 가라앉지 않자 결국 니카라과 당국은 체포한 학생 시위대 일부를 이날 석방했으며, 니카라과 천주교는 갈등 해결을 위한 국가적 대화에 중재자 역할을 하기로 했다.

연합뉴스

니카라과서 연금개혁 반대 시위 현장에 배치된 경찰[AP=연합뉴스]



국제사회는 니카라과 유혈사태에 우려를 표명하며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성명에서 "니카라과 국민을 위한 광범위한 대화와 지원을 촉구하는 국제사회에 움직임에 동참한다"며 니카라과에서 일어난 폭력과 탄압을 규탄했다.

과테말라는 정권 차원의 비리 사건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날 수도 과테말라시티 도심에서는 시민 수천 명이 참가한 가운데 부패 의혹이 불거진 지미 모랄레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시위가 열렸다.

시민들은 불법 선거자금 수수 혐의를 받는 모랄레스 대통령뿐 아니라 대통령 면책특권 박탈을 거부한 의회 구성원들도 물러나야 한다고 촉구했다.

앞서 불법 대선자금 수사를 해온 과테말라 검찰과 유엔 산하 반면책 국제위원회(CICIG)는 작년 8월 과테말라 헌법재판소에 모랄레스 대통령에게 부여된 면책특권을 박탈해달라고 요청했다. 헌재는 이를 수용해 의회로 넘겼으나 의회에서 부결됐다.

검찰과 CICIG는 모랄레스 대통령이 집권여당 국민통합전선(FCN) 사무총장으로 재직할 때 기업들로부터 100만 달러 이상의 불법 선거자금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24일(현지시간) 과테말라 수도 과테말라시티에서 열린 대통령 퇴진 촉구 시위[EPA=연합뉴스]



미국령 푸에르토리코는 허리케인 어마와 마리아가 휩쓸고 간 지 7개월이 지났는데도 섬 곳곳에서 전력 공급 등이 제대로 되지 않아 주민들의 분노가 들끓고 있다.

이에 24일 푸에르토리코 상원은 왜 아직도 주민 수천 명이 전력과 주거지 없이 지내야 하는지 설명하라고 정부 기관들에 요청했다. 각 기관은 5일 이내에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계획을 제시해야 한다.

이날 산악 마을 라스 피에드라스 주민 수십 명은 이 지역 주민 40%가량이 전력 서비스 없이 생활하는데 전력 복구 팀이 떠나려 한다며 항의하는 시위를 했다.

결국 전력 회사 측은 이 지역 전력 서비스가 완전히 복구될 때까지 철수하지 않기로 약속했다.

푸에르토리코는 지난해 9월 허리케인이 섬 전체를 초토화하면서 전력 시설 대부분이 파괴됐다. 미군이 투입돼 복구를 돕고 있으나 약 4만 명이 정상적으로 전기를 사용하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18일(현지시간) 정전으로 어두운 푸에르토리코 산 후안의 거리[로이터=연합뉴스]



rice@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