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0.07 (월)

[여적]남북단일팀의 이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30여년 기자경력 중 1991년 4월29일 저녁 일본 지바 마쿠하리 스포츠센터의 일은 절대 잊을 수 없다. 현정화·홍차옥·리분희·유순복 등으로 구성된 탁구 코리아 단일팀이 세계탁구선수권 여자단체 결승에서 중국을 3-2로 꺾고 우승을 차지한 것이다. 덩야핑(鄧亞萍)·차오훙(喬紅)·가오쥔(高軍) 등이 쌓은 만리장성 탁구를 어떻게 넘어섰을까. 33일의 합숙훈련을 포함한 ‘46일간의 작은 통일’ 덕분이 아니었을까. 곰살맞은 표정으로 인터뷰에 응하고 스스럼없이 농담을 주고받던 북한 선수들이 떠오른다. 단일팀은 곧이은 1991년 포르투갈 세계청소년축구대회에도 이어져 8강 진출이라는 호성적을 올렸다.

27년 전 단일팀의 추억을 간직한 이들에게 최근 평창 동계올림픽 남북한 여자 아이스하키 단일팀 구성을 둘러싼 논란은 좀 당황스러울 수밖에 없다. 얼어붙은 남북관계를 풀어주고, 그중에서도 한솥밥을 먹으며 ‘짧은 통일’을 이룰 수 있는 단일팀 구성은 환영할 만한 일이 아닌가. 그러나 시중의 여론은 그리 녹록지 않다. 지난 4년 동안 오로지 올림픽 출전을 위해 땀을 흘려온 국가대표 선수 중 일부는 짐을 싸야 한다. 한 달이 넘는 합숙훈련으로 팀워크를 다진 탁구·축구의 단일팀과 달리 ‘평창 단일팀’ 구성은 시간이 촉박하다. 3주도 남지 않은 대회까지 팀워크를 다질 수 있을까. 나라의 평화를 위해 희생을 감수하라는 정부의 방침이 시대착오적인 것 같은 느낌마저 준다. 북한 선수를 공동체의 일원으로 여기기보다는 피땀으로 마련한 밥상에 숟가락 하나 들고 온 불청객쯤으로 여기고 있다. 젊은 세대의 대북 인식이 많이 달라졌다.

기원전 776년 8년 주기의 고대 올림픽을 4년 주기로 바꾼 이유는 빈발하던 전쟁을 피하고 그리스의 단합을 위한다는 것이었다. 올림픽은 이렇게 평화와 화합을 행한 ‘정치적인 운명’을 갖고 태어났다. 지금 여자 아이스하키 대표 선수 중에는 한국계 귀화선수가 4명 있다. 여기에 북한 선수 몇몇이 합류하면 명실상부한 코리아 단일팀이 될 수도 있다. 전 세계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수도 있다. 엔트리 탈락 선수를 위한 배려 역시 당연하다. 촛불정신으로 태어났다는 정부답게 독단과 불통이 아닌, 대화와 설득의 과정을 통한 ‘단일팀’을 기대한다.

<이기환 논설위원>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