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0 (목)

[데이터로 자살 막는다]지역별로 ‘위기자’ 추출…극단 선택 전 ‘공적 대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공공의창’은 2015년 통계청 인구주택조사와 지리정보, 2006~2015년 실제 자살자 통계, 4500명 대상 설문조사를 사용해 ‘2017~2018년 자살위기자 예방대응 지도’를 만들었다. 이 지도에는 ‘자살위기자’가 어느 지역에 많은지 읍·면·동 단위로도 나온다.

자살위기자는 전국 4500명을 설문조사해 추출했다. 18개 설문 문항 중에 “‘나는 이제 더 이상 희망이 없어’라는 말에 어느 정도 공감하십니까”에 “공감한다”고 답한 28.8%(다소 공감 22.3%, 매우 공감 6.5%)와 “최근 1년 사이에 자살을 생각해 보신 적이 있으십니까”란 질문에 “생각해봤다”고 답한 15.5%(종종 생각함 11.3%, 자주 생각함 4.2%)를 ‘자살위기자’로 분류했다. 두 문항 중에서는 ‘자살충동’에 가중치를 부여했다.

이렇게 추출한 자살위기자의 지역별 비율과 2006~2015년 실제 자살자의 지역별 분포를 비교해 보니 상관율은 84.1%로 나왔다. 자살위기자가 많은 지역에서 실제로도 자살자가 많이 나올 개연성이 높다는 뜻이다.

조사팀은 17개 광역시·도, 252개 시·군·구, 3491개 읍·면·동을 모두 인구 대비 자살위기자 비율에 따라 정렬했다. 자살위기자 비율이 높은 상위 20%는 A등급(파란색), 21~40%는 B등급(주황색), 41~60%는 C등급(노란색)으로 분류했다. D등급과 E등급은 흰색으로 두었다. 행정구역의 면적이 아니라 인구 비율에 따라 보정한 ‘카토그램’으로 지역들을 지도에 표시했다.

공공의창은 정부가 ‘정신건강증진센터’ 등 자살예방 인프라를 확대할 때 이 지도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한다. 우선순위를 정할 때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232개 시·군·구 자살위기자 예방대응 지도와 현재 인프라 설치 현황을 비교해 보면, 서울시 동북부와 남서부, 경기 남서부 기초자치단체 등에 인프라 확충이 시급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복지 확대를 위한 정부 보조금을 편성할 때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노인이 많이 사는 곳에 노인복지사업 정부 보조금을 추가하듯이, 자살위기자가 많은 지역에 지원을 확대하는 것이다. 주거환경과 자살률의 상관관계가 명확히 입증된다면 주거비 지원을 늘리는 방법도 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현재 복지부 자체적으로도 시·군·구 단위로 원인을 찾고, 자살예방대책을 각각 세우고 있다”며 “읍·면·동 단위까지 지도가 나온다면 자살을 예방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홍진수 기자 soo43@kyunghyang.com>

▶ 경향신문 SNS [트위터] [페이스북]
[인기 무료만화 보기]
[카카오 친구맺기]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