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이슈 시위와 파업

“3명 중 1명 죽거나 다쳐”···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노동자들 파업 가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타워크레인 일러스트. 픽사베이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건설현장의 필수 장비인 타워크레인을 설치·해체하는 노동자들이 총파업을 가결했다. 이들은 안전사고를 부르는 무리한 작업 중단과 인건비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노총 전국타워크레인설·해체노조는 조합원 96.3% 투표에 90.2% 찬성으로 오는 24일 전면 총파업을 가결했다고 20일 밝혔다.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노동자는 전국에 500~600명가량이 있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노조에는 450명 정도가 가입해 있다. 파업이 현실화하면 전국 공사현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노조는 업체들이 공기와 비용을 줄이려고 무리한 작업을 시킨 결과 중대재해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1주일은 필요한 작업인데 현장에서는 하루 만에 작업을 완료하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노조 집계 결과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노동자 8.6명 중 1명이 사망했고, 3.2명당 1명의 사상자가 나왔다.

노조는 “타워크레인 설치·해체 재해자는 완치 후에도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의 중상자가 대부분”이라며 “타워크레인을 하루 만에 설치하는 나라는 전 세계에 없다. 안전 수칙을 지켜가며 작업하기는 원천적으로 불가능한 구조이고, 사고가 발생하면 정부는 항상 작업자 실수 또는 과실로 발표하며 근본적인 원인에는 눈을 감는다”고 했다.

노조는 업계에 만연한 불법 하도급이 안전사고와 중간착취를 부른다고 했다. 타워크레인 임대사들은 법적으로 장비 임대만 할 수 있는데, 실제 현장에서는 건설사와 노동자 사이에서 불법 하도급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노조는 “임대사들이 하는 일이라고는 원청에서 도급받은 금액 중 절반을 떼어먹고 모든 책임은 노동자에게 전가하고 있다”고 했다.

안전사고 위험은 높은데 임금은 낮다 보니 노동자들이 지속적으로 이탈하면서 상황이 더 악화됐다. 2009년 타워크레인 2958대에 노동자는 약 1300명이었지만, 올해 타워크레인은 5921대에 노동자는 500~600명으로 줄었다.

노조는 원청과 노동자의 직접 계약, 타워크레인 작업일수 연장, 타워크레인 작업인원 확대 등을 요구했다. 한국타워크레인조종사노조도 임대사들과 임금교섭을 진행 중이다. 조종사들은 원청 직접고용과 적정임금 보상을 요구하고 있다.

조해람 기자 lenno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5·18 성폭력 아카이브’ 16명의 증언을 모두 확인하세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