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단독]소방청, 소방전문병원 설립 속도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014년 진행 연구용역 결과 활용하면 추진 빨라질 듯…김부겸 장관도 많은 관심

건립비용만 1000억원 예상…건립 완료후 접근성취약 해결하기 위한 대책도 마련

아시아투데이

지난달 25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작업자들이 신설되는 행정안전부와 소방청 명패를 부착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아시아투데이 박병일 기자 = 42년 만에 독립한 소방청이 소방전문병원(복합치유센터) 설립에 속도를 낸다.

소방전문병원 설립은 2012년 금융산업노사가 조성한 사회공헌기금을 바탕으로 급물살을 타다 부처 간의 이견으로 철회됐지만 이번에는 정부차원의 관심이 높다는 점에서 사업을 적극 추진할 수 있는 동력이 생겼다는 판단에서다.

13일 소방 당국에 따르면 소방청은 소방관을 위한 전문병원인 복합치유센터 설립의 재추진을 준비 중이다. 다만 치유센터를 설립하기 위해 2014년 연세대 보건대학원에 의뢰했던 기초조사연구를 그대로 활용할지, 새롭게 연구용역을 실시할지에 대한 결정이 나지 않아 사업 추진이 다소 지연되고 있다.

소방청 관계자는 “치유센터 설립 계획을 다시 추진하고 있다. 다만 사업 자체의 예산 금액이 크기 때문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서 진행해야 한다”며 “2014년 진행한 연구결과가 현재까지 적용될 수 있는지 검토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2014년 실시한 연구용역 기간이 4~5개월 정도 소요됐던 것을 고려하면 신규로 연구용역을 진행할 경우 본격적인 사업진행은 내년초가 될 가능성이 높다.

소방전문병원 설립은 2002년부터 논의가 시작됐지만 국립병원의 경영과 효율성 문제, 지방소방공무원에 대한 진료비 지원 곤란 등의 사유로 추진에 어려움을 겪으며 현재까지 제자리 걸음인 상태였다.

2012년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가 국제규모 화상전문병원 설립을 희망하며 사회공헌기금을 소방공무원 등을 위한 화상전문병원 건립에 사용한다며 322억원을 기부하기로 결정했다. 하지만 부처 간 이견 등으로 2015년 말 협의회는 기부의사를 철회했고, 지난해 자금을 전액 회수했다.

당시 정부는 332억원만 지원해 주면 소방전문병원 건립이 가능하다는 입장이었지만 협상 과정에서 병원 운영비도 미리 준비할 필요가 있다며 은행권에 자금지원을 추가로 요구했다. 이와 관련해 의견차가 발생, 사업이 추진되지 못했다.

우여곡절 끝에 진행되는 치유센터 설립은 건립예산만 1000억원 안팎이 소요될 전망이다. 2014년 조사 당시 추정 예산은 960억원 수준이었다. 다만 운영에 들어가는 예산 등은 기획재정부와의 논의를 거쳐야 확정될 수 있는 부분이어서 안정적인 예산 확보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현재 정부 내 분위기가 치유센터 설립에 긍정적인 점을 고려하면 치유센터 설립과 관련된 세부사안은 이른 시간 내에 확정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소방청 안팎의 시각이다. 신열우 소방정책국장은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도 소방청 업무보고를 받는 자리에서 치유센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한편 소방청은 치유센터가 설립될 경우 일각에서 지적받고 있는 접근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소방전문치료센터(거점병원)에 대해서도 예산 지원을 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거점병원에 대한 예산지원은 전무하다.

소방청 관계자는 “치유센터가 설립되면 거점병원들과 연계해 치유센터에서 치료받는 것에 준해서 치료비 지원 등을 할 수 있게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