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아사히, “박근혜 정부, 김정은 정권 교체시도…암살도 검토”…국정원 "사실무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박근혜 정부가 지난 2015년 말 이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을 실각시키기 위한 공작을 벌였으며, 사고를 가장한 김정은 암살도 선택지에 있었다고 일본 아사히(朝日)신문이 26일 ‘박근혜 정부의 대북 정책에 정통한 소식통’을 인용해 26일 보도했다. 국가정보원은 이에 대해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이 신문은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지난 2015년 12월 남북당국자회담이 결렬된 후 대북 관계가 대결 국면으로 치닫자, 북한의 '리더십 체인지'(지도자 교체)를 목표로 하는 대북 정책 관련 문서에 서명했다”고 보도했다. 아사히는 “이 정책은 국정원이 주도해 만들었으나 상세한 북한 정권 교체 방법 등은 알려지지 않았다”면서 “다만 김정은의 은퇴나 망명, 암살 등의 계획이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고 추정했다.

소식통은 "(한국 정부가) 사고를 가장한 (김정은) 살해도 계획했다"며 김정은의 실각이 이루어질 경우 한반도에 비상사태가 발생할 것을 경계해, 한국의 개입으로 이러한 사태가 벌어졌음이 알려지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기까지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당시 한국 측은 김정은이 타는 자동차나 기차, 수상스키 등에 ‘작업’해 사고를 가장하는 방법을 검토했지만 북한의 경계가 엄격해 무산됐다고 덧붙였다.

박근혜 정권은 출범 초기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드레스덴 선언' 등으로 남북대화에 의욕을 보였지만, 미국의 대화 신중론과 북한의 4~5차 핵실험 등이 "극단적인 강경 노선으로 가는 배경이 됐다"고 아사히는 분석했다.

아사히는 “2015년 8월 군사분계선 근처에서 발생한 지뢰 폭발로 남북관계 긴장이 높아졌지만 전격적인 남북 고위회담으로 충돌은 모면했다”면서 “버락 오바마 당시 미국 대통령이 대화를 위해 비핵화를 향한 북한의 행동이 전제돼야 한다고 고수해 한국 정부가 대화 노선에서 전환했다”고 부연했다.

아사히는 박 전 대통령이 탄핵되면서 이 같은 대북 정책은 문재인 정권에 인계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국정원 측은 아사히 보도에 대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박근혜 정부 시절 청와대 한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북한 정권교체에 대한 구상이나 아이디어 수준의 생각은 어느 정부에서나 있을 수 있지만, 이를 정식 문서나 정책으로 구체화해 당시 대통령이 사인하거나 한 일은 없다"며 "일부 외신 보도는 한반도 유사시 평양의 전쟁지도부 제거 등을 담은 '참수작전'(김정은 등 북한수뇌부 제거작전)을 부풀리거나 와전한 얘기가 아닌가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이슈팀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