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소통 내세웠던 黨·靑, 자유게시판 없앴다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黨 "토론 과열돼 어쩔수 없었다"

靑 "페이스북 등 다른 창구 활용"

시민들 "다시 열어라" 요청 쇄도

야권 "소통을 중요하게 여긴다며 게시판 활용 안하는건 어불성설"

더불어민주당의 홈페이지(theminjoo.kr)에는 네티즌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자유게시판'이 없다. 문재인 정부 청와대 홈페이지(www.president.go.kr)에도 '자유게시판'은 없다. 이 때문에 시민들은 여권과 관련 있는 민주연구원, 을지로위원회 홈페이지 등을 찾아가 "다시 당·청(黨·靑) 자유게시판을 만들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관계자는 25일 "대선전 때 토론 과열 현상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자유게시판을 폐쇄했다"고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청와대 홈페이지에 자유게시판은 없지만 소셜미디어 등 다른 소통 창구가 있지 않으냐"고 했다.

민주당 홈페이지 '소통' 코너에는 원래 자유게시판이 있었다. 누구나 익명으로 글을 쓸 수 있었기 때문에 표창원 의원의 박근혜 전 대통령 누드 풍자화 게시 등 당내 논란이 있을 때마다 격렬한 논쟁이 벌어졌었다. 막말과 욕설도 오갔다. 민주당은 이런 모습을 두고 "건강한 민주주의"라고 했었다. 그러나 민주당은 지난 4월 자유게시판을 폐쇄하고 개인 의견을 비공개로 당에 보낼 수 있는 '민심 소통'이라는 카테고리를 새로 만들었다. 당 관계자는 "자유게시판 역할을 '토론장'에서 '민원 창구'로 바꾸자는 의견이 당내에서 여러 차례 제기됐다"며 "대선 후보를 뽑는 경선 과정에서 지지자들 논쟁이 너무 과열되다 보니 부정적 측면이 크다는 판단을 해서 용도를 바꾼 것"이라고 했다. 이는 당의 디지털소통위원장을 지낸 유영민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후보자가 내린 결정으로 알려졌다. 민주당은 과거 자유게시판을 회원 가입을 통한 실명제로 운영한 적은 있지만, 이번처럼 아예 없앤 적은 없었다.

현재 청와대 홈페이지에서도 자유게시판을 찾을 수 없다.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청와대 홈페이지에서 자유게시판을 운영했고, 쟁점 현안이 있을 때마다 찬반 토론이 벌어졌었다. 야권에서는 "문재인 대통령이 대국민 소통을 중요하게 여긴다고 해놓고 자유게시판을 닫은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말이 나온다. 청와대 관계자는 "곧 국민 소통을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바뀔 것"이라면서도 "청와대 페이스북, 트위터 등이 있는데 꼭 청와대 홈페이지 게시판에서만 소통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으냐"고 했다.

하지만 민주당 당원 등 시민들은 "다시 소통 창구를 열어야 한다"고 하고 있다. 민주연구원 홈페이지에는 "당 소통 게시판을 다시 열어라" "욕을 해야 만들어줄 거냐. 문 대통령 앞길에 먼지 하나라도 방해물을 만들지 마라" "민원 넣었는데 무시하네" 등의 글이 올라와 있다. 을지로위원회의 인터넷 사이트에도 한 네티즌이 "박근혜 정부도 '오픈광장'을 열어 인터넷 소통을 이어갔는데 어느 날 갑자기 사라졌다"며 "도대체 의견을 어디에 말해야 하나. 다시 만들어지길 바라는 마음에 여기까지 들어와 글을 남긴다"고 썼다.

야 4당은 여러 형태로 자유게시판을 운영 중이다. 한국당과 정의당은 '로그인'을 해야 하지만 닉네임으로 글을 남길 수 있다. 국민의당은 '국민광장'이란 자유게시판을 운영 중이며 개인 인증 없이 글을 쓸 수 있기 때문에 비판 글이 상당수 올라와 있다. 바른정당도 마찬가지다. 민주당 관계자는 "대선이 끝났기 때문에 다시 자유게시판을 운영할지 말지 고민을 하고는 있다"고 했다.



[김아진 기자]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