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반달가슴곰, 백두대간따라 '경북 김천'까지 서식지 확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김천서 발견된 반달가슴곰


【세종=뉴시스】이인준 기자 = 생태복원사업이 진행중인 반달가슴곰의 한 개체가 백두대간을 따라 경북 김천까지 서식지를 넓힌 사례가 확인돼 관리 지역을 넓혀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1일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에 따르면 지난 14일 경북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된 반달가슴곰에 대해 유전자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약 2년전 지리산에 방사했던 개체인 것으로 확인됐다.

지리산에서 수도산까지는 약 80㎞의 거리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이 시작된 이래 이처럼 장거리를 이동한 것이 매우 이례적이다. 앞서 경남 함양(15㎞)지역과 전남 구례(7㎞) 등으로 이동한 사례가 보고된 바 있다.

공원관리공단은 이 반달가슴곰이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출발, 백두대간을 따라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대전통영고속도로를 통과하고, 덕유산국립공원 등을 거쳐 김천 수도산까지 이동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환경부가 그동안 야생동물이 도로위에서 차에 치어 사망하는 로드킬을 예방하기 위해 사치산 생태통로 등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사업의 효과로 야생동물 이동 장애요인이 일부 해소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또 고속도로의 경우 최근 선형 변경과 교량화로 공간이 단절되지 않아 교각 아래나 터널 위 지역을 이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반달가슴곰 서식지가 지리산 권역 외에 광범위한 지역으로 자연 확대된 것이어서 관리 지역의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 반달가슴곰 이동예상경로를 조사해, 반달가슴곰이 지리산권역을 벗어나 이동시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구축해 운영키로 했다. 또 반달가슴곰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농가 등에서 곰을 만났을 때 대처요령을 알리고 종, 호루라기 등 곰피해 방지용 물품을 나누어 주는 캠페인도 실시할 계획이다.

ijoinon@newsis.com

뉴시스 SNS [페이스북] [트위터]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