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기고] 4차 산업혁명, 정부와 기업의 소통이 먼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조선일보

박용현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회장


새 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여가 흘렀다. 조만간 국정기획자문위원회가 새 정부 국정 운영의 청사진을 공개하고, 4차산업혁명위원회도 출범시킬 예정이다. 기업들은 곧 구체화될 산업기술정책의 향방을 큰 기대와 긴장 속에 기다리고 있다. 향후 5년은 4차 산업혁명으로 규정될 격변기로, 정부의 대응이 국가 경제의 앞날을 좌우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미 세계는 미래 산업구조로 이동하기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선진국들은 대대적인 산업구조 개편에 대비하여, 민관 협력을 강화하고 신산업 기반을 조성하는 데 국가적 역량을 결집하고 있다.

우리 기업들이 새 정부에 바라는 것도 이런 흐름과 다르지 않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지난 4월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90% 넘는 기업들이 새 정부가 취해야 할 정책 방향으로 '산업계 주도의 기술혁신 체계 구축'과 '기술역량 중심의 기술혁신 지원'을 선택했다.

산업계의 바람은 간명하다. 정부와 기업이 소통해야 한다는 것이다. 우선 국가 연구개발(R&D) 투자의 77.5%를 차지하는 기업이 국가 기술혁신에 있어 '핵심 플레이어' 역할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정부 정책의 수립과 R&D 사업 추진의 전 과정에서 정부가 기업의 의견을 들어주길 바란다.

조선일보

16일 오후 통의동 국정기획자문위에서 열린 한 회의에 관련 자료가 놓여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불어 R&D 지원 정책은 이제는 양보다 질을 우선해야 한다. 그간 정부가 매출액을 기업 규모 판단 기준으로 삼아 양적 성장을 중시했다면, 앞으로는 기술혁신 역량을 따져봐야 한다. 기술협력의 활성화도 주문한다. 기업과 대학, 정부출연 연구소가 경쟁하는 구조에서 벗어나, 각자의 장점과 특성은 살리되 성과를 공유하고 협력하는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

물론 이 모든 것이 단기간에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은 아니다. 정부와 기업이 속내를 터놓고 노력해야 실현 가능하다. 특히 기업은 스스로 담장을 낮추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기술협력에 힘써야 한다.

앞으로 세계경제와 산업은 지난 40~50년과는 확연히 다른 양상으로 진화할 것이다. 변화 과정에서 성장통이 예상되지만, 우리에겐 무한한 잠재력이 있다. 정부와 기업 모두가 익숙한 관성에서 벗어나 근본적인 변화를 추진해 나간다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해나갈 수 있다고 확신한다.

[박용현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회장]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