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美상원 가드너 "필요하면 군사력 동원해 북한 압박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미국 상원 동아태 담당 소위원회 코리 가드너 위원장. 사진은 가드너 위원장이 지난해 12월 16일(현지시간) 미 의회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EPA=연합뉴스]



(워싱턴=연합뉴스) 강영두 특파원 = 미국 상원 동아태 담당 소위원회 코리 가드너(공화·콜로라도) 위원장은 25일(현지시간)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해 미국은 모든 경제·외교 수단과 함께 필요하면 군사적 수단까지 동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이날 워싱턴DC에서 미 존스홉킨스대학 국제대학원(SAIS)이 주관한 '트럼프 취임 100일' 토론회에 참석해 "북한에 대한 모든 옵션이 테이블 위에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미 의회 내 대표적인 지한파인 그는 선제타격을 포함한 초강경 대북 정책은 물론 '포스트 김정은', 김정은 제거 이후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해왔다.

가드너 위원장은 중국을 통한 강력한 대북 압박을 가하는 트럼프 정부의 대북 전략에 공감을 표시하며 중국을 강력히 압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우선 북한의 자금줄 차단을 위해 북한과 거래하는 제3국의 기업과 기관에 직접 제재를 가하는 '세컨더리 보이콧' 시행을 요구했다.

이를 통해 북한의 최대 교역국인 중국이 북한 문제 해결에 적극적인 역할에 나서도록 해야 한다는 게 그의 입장이다.

가드너 위원장은 또 중국이 북한 노동력을 헐값에 쓰고, 북한 사이버 공격의 기지 역할을 하는 것도 중단해야 한다며 "중국은 행동을 통해 약속을 증명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트럼프 정부는 '북한과의 직접 대화'를 주장하는 중국에 "미국은 우리와 동맹국의 안보를 희생시키는 대가로 북한과 협상하지 않는다"는 점을 분명히 알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한국도 배치와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경제 보복 조치에 대해 명백하게 비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가드너 위원장은 지난 2월 세컨더리 보이콧, 사드 배치, 한·미 합동 군사훈련 등 대북 강경조치를 담은 서한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발송한 바 있다.

k0279@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