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충남도 '백삼'으로 금산인삼 새 활로 찾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흑삼 이어 '백삼 가공 표준화 사업' 추진…4년 간 30억 투입

아시아투데이

‘백삼’으로 금산인삼 새 활로 찾는다



내포/아시아투데이 김관태 기자 = 오늘날 금산인삼의 명성을 있게 한 ‘백삼’이 새로운 글로벌 인삼시장 개척을 위한 상품으로 집중 육성된다.

도는 2020년까지 4년 동안 30억원을 투입해 ‘백삼 가공 표준화 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백삼은 피로회복과 혈액순환 개선, 항산화활성 등의 효능이 홍삼과 유사한 것으로 금산국제인삼약초연구소 연구를 통해 확인된 바 있다.

제조 과정은 수삼 선별·세척, 곁뿌리·잔뿌리 제거, 박피 또는 형태 변형, 1·2차 건조 등이다. 백삼은 모양이나 표피 제거 여부에 따라 직삼과 곡삼, 반곡삼, 피부곡삼과 피부반곡삼, 잔뿌리로 제조한 백미삼류, 절삼백삼, 절편백삼, 분쇄백삼 등으로 나뉜다.

1500여 년 전 ‘강처사 전설’로 시작된 금산 백삼은 엄격한 품질 관리로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얻고 권위를 인정받으며, 금산이 전국 최대 인삼 시장으로 성장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다.

아시아투데이

흑삼 이어 ‘백삼 가공 표준화 사업’ 추진…4년 간 30억투입



백삼은 그러나 홍삼 중심 마케팅 전략에 밀려 상대적으로 위축되며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떨어지고 있다. 이번 가공 표준화 사업은 금산인삼 명성의 뿌리와도 같은 백삼을 세계적인 상품으로 만들어 인삼시장의 새 활로를 찾겠다는 구상에 따른 것이다.

도는 가공 표준화 사업을 통해 금산 인삼약초특화단지 내에 초미세백삼분말, 절삼 등 제조·가공 시설을 마련한다.

또 백삼분말을 활용해 기능성 음료와 과자 등을 생산하는 가공식품 생산라인도 구축한다. 백삼 원료는 농산물우수관리인증(GAP)을 받은 인삼만을 사용한다.

도내 인삼 관련 451개 업체 중 금산에 위치한 업체는 429곳에 달하며, 금산 업체 중 61%인 263개소가 백삼 관련 제조업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그동안 백삼은 한약제로 소비되는데 그쳤으나, 이번 사업을 통해 백삼이 농식품으로 재탄생해 국민들의 사랑을 받길 기대한다”며 “다양한 유통 경로를 통한 판로 지원 사업을 전개해 농업·농촌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일자리와 소득 증대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의 기틀을 다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