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화장풍 중간유통사 실리콘투, K-뷰티 수혜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1등 공신은 물류 운송비 절감"

아시아투데이 남미경 기자 = 삼성증권은 25일 화장품 중간 유통사인 실리콘투에 대해 우수한 재고 관리로 개별 브랜드의 흥망성쇠와 관계없이 수혜를 볼 수 있는 구조를 갖췄다고 분석했다. 투자의견과 목표주가는 제시하지 않았다.

실리콘투는 국내 화장품 브랜드사들로부터 상품을 매입해 이를 해외 유통업체 및 최종 소비자에 판매하는 '중간 유통사'다. 매출 대부분은 해외 중소 유통업체로부터 발생한다.

한영수 삼성증권 연구원은 "국내 화장품을 판매하고 싶은 해외 유통사는 웹사이트에서 한 번에 여러 브랜드의 다양한 상품을 빠르고 편리하게 주문할 수 있고, 회사의 가격 협상력 우위도 누릴 수 있다"며 "회사가 주요 매출 지역에서 직접 지사 및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있어 재고 수령 및 주문 대응도 신속하다"고 평가했다.

또 "다른 K-뷰티 유통사 'YesAsia(K-뷰티의 2023 매출 기여도 80.6%)보다 작년 기준으로 영업이익률이 무려 9%포인트 높다"면서 "이러한 격차의 1등 공신은 물류 운송비로 매출 대비 물류 운송비 비중은 실리콘투가 YesAsia의 7분의 1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또 실리콘투가 우수한 재고 관리 시스템 덕분에 개별 브랜드의 인기에만 의존하지 않는 점도 높게 평가했다. 그는 "회사의 모든 매출은 사전에 매입한 상품이 팔릴 때 발생하기에 사업 구조상 늘 재고 부담을 지닌다"며 "실리콘투는 각 취급품목수(SKU)의 초도 매입량을 낮은 수준으로 설정하고 판매·마케팅 실적이 좋은 경우에만 매입량을 점차 늘려나간다"고 말했다.

이어 "자체 개발한 ERP 시스템을 통해 유통 기한을 철저히 트래킹하고, 판매 추이가 저조하다고 판단되면 사전에 판촉 행사로 재고를 해소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그 덕에 회사는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면서도 과잉 재고 문제를 단 한 번도 겪은 적이 없고, 고속 성장하는 인디 브랜드를 여럿 발굴해냈다"며 "이 덕에 회사는 개별 브랜드의 흥망성쇠와 관계없이 어떤 브랜드가 잘 나가든 수혜를 볼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고 강조했다.

ⓒ "젊은 파워, 모바일 넘버원 아시아투데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