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주민번호 대체? 존재 의미 없는 '아이핀'...간편인증으로 활로 찾는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키뉴스 박근모 기자] 주민등록번호와 같은 개인정보를 대체할 수단으로 아이핀(IPIN, 인터넷 개인 식별 번호)이 도입된지 10여년이 지났다. 하지만 일반 사용자들의 아이핀 이용률은 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아이핀의 활성화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정부와 관련기관은 아이핀 활성화를 위해 2차 인증 방식 확대 및 모바일 앱을 통한 간편인증 도입 등을 고심하고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민간 아이핀을 이용한 인증건수는 2013년 8366만건, 2014년 1억420만건, 2015년 5965만건, 2016년 4003만건, 올해(1월) 294만건으로 갈수록 이용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키뉴스

2013년 이후 아이핀 인증 현황 (자료=한국인터넷진흥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이핀은 주민등록번호 대신 인터넷상에서 신분을 확인하는데 쓰이는 제도로 과거 정보통신부가 2006년 10월 아이핀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발표하며 본격적으로 도입됐다. 특히 인터넷상 주민번호 수집 행위를 억제해, 설사 아이핀이 유출되더라도 개인정보유출을 막는 개인정보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2015년 발생한 공공 아이핀 부정발급 이슈로 인해 강화된 보안 조치가 아이핀에 적용됐다"라며 "부정발급 이슈와 2차인증 도입 등으로 이용자 불편이 가중돼 이용률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 중"이라고 설명했다.

2015년 3월 발견된 공공 아이핀 부정발급 이슈는 가짜 법정대리인이나 7세 이하의 아동, 숨진 사람의 명의 등으로 총 90만2000여건에 달하는 공공 아이핀이 불법적으로 발급된 사건이다.

키뉴스

2013년 이후 아이핀 발급 현황 (자료=한국인터넷진흥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민간 아이핀 관리 주체인 손견우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윤리과 사무관은 "부정 사용을 막기 위해 1년이상 미사용 아이핀을 일괄 폐기하면서 발급 수가 크게 하락했다"라며 "현재 아이핀 이용 활성화를 위해 2차 인증 방식을 확대하고 모바일 앱을 통한 간편인증을 도입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 중"이라고 말했다.

부정발급을 막기 위한 조치로 시작된 2차인증 도입은 아이핀을 사용하려면 기존 1차 핀번호 외에도 추가로 복잡한 암호를 입력해야 하는 등 과정이 복잡하다. 특히 영문 대소문자와 특수문자까지 입력을 해야하는 형태로 암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등 이용자 불만이 컸다.

손견우 사무관은 "현재 2차 인증 수단으로 생체인증을 이용한 지문이나 음성, 패턴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 가능하다"라며 "특히 통신 사업자와 연계한 모바일앱 형태의 간편인증 방식도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키뉴스

민간 아이핀 모바일 간편인증 사용 현황 (자료=한국인터넷진흥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의 자료에 따르면 민간 아이핀 간편인증(모바일앱) 이용 건수는 지난해 7월 도입 이후 대략 46만건에 불과할 정도로 이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대해 손견우 사무관은 "올해 책정된 예산이 5억원에 불과해 아이핀 활성화를 위한 홍보를 하기에 힘든 상황"이라며 "아이핀 이용 안내서 등을 배포해 아이핀 활성화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