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마지막 환자 '완치' 판정…국내 메르스 사태 일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합뉴스

메르스 감염 집중 발생한 평택성모병원 (평택=연합뉴스) 신영근 기자 = 5일 보건당국이 메르스 감염이 집중적으로 일어났던 병원이 평택성모병원이라고 공표했다. 이날 오전 마스크를 한 취재진만이 목격될 뿐 병원 주변에 인기척은 뚝 끊어졌고 병원 입구에는 전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잠정 휴원한다는 안내문만이 부착돼 있다. 2015.6.5 drops@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geenang


(서울=연합뉴스) 김병규 기자 = 마지막 1명 남은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감염자인 80번 환자(35)가 1일 유전자 검사에서 메르스 완치 판정을 받았다. 이로써 지난 5월 말 이후 전국을 뒤흔들었던 메르스 사태가 공식 종식을 앞두게 됐다.

다음은 국내 메르스 사태를 정리한 일지다.

▲ 2015. 4.18~5.3 = 국내 첫 감염 환자로 판명된 1번(68) 환자, 바레인에서 농작물 재배 관련일로 체류.

▲ 5.4 = 1번 환자 카타르를 거쳐 인천공항 통해 귀국, 당시 증상 없음.

▲ 5.11 = 1번 환자 입국 7일 만에 38도 이상 고열, 기침 등 첫 증상 발현.

▲ 5.12~14 = 1번 환자 아산서울의원 외래 진료.

▲ 5.15∼17 = 1번 환자 평택성모병원 입원.

▲ 5.17 = 1번 환자 365서울열린의원 진료.

▲ 5.18~20 = 1번 환자 삼성서울병원 입원.

▲ 5.20 = 1번 환자 메르스 국내 최초 확진, 국가지정입원치료병상으로 이송. 1번 환자 부인 국내 두 번째 메르스 환자 확진.

▲ 5.21 = 1번 환자와 같은 병실 쓴 환자 국내 세 번째 메르스 환자 확진. 보건당국, 세 명의 확진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가족, 의료진 등 64명 격리조치.

▲ 5.21 = 3번 환자의 딸, 질병관리본부에 메르스 검사·격리 요구했다 증세 없어 거절.

▲ 5.22 = 3번 환자의 아들인 K씨, 고열로 응급실 첫 방문. 메르스 밀접접촉 여부 언급 안함.

▲ 5.25 = K씨, 고열 증세로 두 번째 응급실 방문.의료진은 중국 출장 취소 권유.

▲ 5.26 = 3번 환자의 딸, 네 번째 메르스 환자 확진. K씨, 중국 출장 강행.

▲ 5.27 = 1번 환자 진료한 서울 365열린의원 의사, 다섯 번째 메르스 환자 확진.

▲ 5.28 = 1번 환자와 동일병동 사용한 환자와 평택성모병원 의료진 여섯 번째, 일곱 번째 환자 확진.

▲ 5.29 = 중국 출장 간 K씨 포함 확진 판정.

▲ 5.30 = 평택성모병원 휴진. 중국·홍콩, 10번 환자인 한국인 K씨의 밀접 접촉자 56명 격리

▲ 5.31 =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메르스 전파력 판단 미흡했다' 사과.

▲ 6.1 = 격리 대상자 682명으로 급증. 메르스 첫 사망자 발생. 평택성모병원에 1번환자와 입원했으나 격리대상에 빠져있던 25번(58·여) 환자 사망 후 확진 판정.

▲ 6.2 = 6번 환자 사망. 3차 감염 환자 첫 확인.

▲ 6.3 = 메르스 환자 30명으로 급증. 격리자 1천명 돌파.

▲ 6.4 =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에서 14번(35) 환자와 함께 있던 의사(38). 35번 환자로 확진.

▲ 6.4 = 서울시, 35번 환자가 메르스 의심 증상에도 대형 행사장과 쇼핑몰에서 최소 1천500여명의 사람과 접촉했다고 주장.

▲ 6.5 = 공군 원사 메르스 감염. 복지부, 평택성모병원 방문자 전수조사 결정.

▲ 6.6 = 2번 환자 퇴원, 국내 환자 중 첫 퇴원 사례.

▲ 6.7 = 정부, 메르스 환자 발생·경유 병원명 일괄 공개.

▲ 6.8 = 10대 메르스 환자 첫 발생.

▲ 6.9 = 세계보건기구(WHO) 메르스 합동조사단, 국내 활동 시작.

▲ 6.11 = 임신부 메르스 의심환자, 최종 확진 판정.

▲ 6.13 = WHO 메르스 합동조사단, '사태 초기 투명한 정보 공개 못해 실패', '지역사회 산발적 발생 대비해야' 조언.

▲ 6.14 = 삼성서울병원 부분폐쇄.

▲ 6.15 = 메르스 환자 150명으로 증가.

▲ 6.17 = 메르스 사망자 1명 늘어 총 20명 발생.

▲ 6.18 = 강동경희대병원 투석실 환자 110여명 메르스 노출우려

▲ 6.19 = 마거릿 찬 WHO 사무총장 "한국 메르스 변이없고 대중유행 위험 낮아"

▲ 6.20 = 메르스 환자 경유한 구리카이저병원 전원 격리

▲ 6.23 =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부회장, 메르스 사태 관련해 대국민 사과문 발표. 메르스 감염된 임신부 확진 판정받고 안전하게 출산. 강동성심병원 외래·신규입원 중단.

▲ 6.24 = 방역당국, 삼성서울병원 부분폐쇄 연장 결정, 건국대병원 신규외래·입원 중단 등 부분 폐쇄.

▲ 6.25 = 메르스 확진환자 180명으로 증가.

▲ 6.26 = 중국에서 메르스 확진판정 받은 10번 환자 퇴원

▲ 6.27 = 강동경희대병원 간호사 '무증상 감염'으로 최초 확진 판정

▲ 6.29 = 국내 첫 메르스 환자 격리해제, 일반 병실서 치료

▲ 7.2 = 메르스 환자 5일만에 추가 발생, 완치자 100명 돌파

▲ 7.2~4 = 삼성서울병원 의사 1명·간호사 2명 추가 확진

▲ 7.4 = 삼성서울병원서 치료받던 메르스 환자 전원(15명), 국립중앙의료원·서울시 보라매병원 등으로 이송.

▲ 7.4 = 186번째 환자 확진

▲ 7.6 = 방역당국 "메르스 큰 고비 넘겼다" 사실상 종식 선언

▲ 7.21 = 186번 환자 완치 판정으로 메르스 감염환자는 80번 환자 1명만 남음

▲ 9.25 = 국내 첫 메르스 환자 퇴원

▲ 10.1 = 마지막 메르스 감염자 80번 환자 완치. 유전자 검사에서 최종 '음성' 판정

▲ 10.29 = 추가 환자 발생하지 않으면 메르스 공식 종식 선언

bkkim@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이재용 '메르스' 대국민 사과 (서울=연합뉴스) 임헌정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3일 오전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와 관련해 대국민 사과를 하고 있다. 2015.6.23 kane@yna.co.kr



연합뉴스

얘기나누는 최경환 총리대행과 박원순 서울시장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최경환 국무총리 직무대행이 10일 오전 정부세종청사 1동 중회의실에서 열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대응 지자체 단체장 간담회'에서 박원순 서울시장과 얘기를 나누고 있다. 왼쪽은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2015.6.10 scoop@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f6464



연합뉴스

완전히 돌아온 유커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20일 오후 서울 명동거리가 유커 등 관광객과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6~7월 메르스 사태 당시 매출이 급감한 것과 비교하면, 8월을 포함해 최근 한달 보름여 사이 유커 소비가 극적으로 많이 늘면서 완전히 이전 추세를 회복했다고 유통업체들은 밝혔다. 사진 오른쪽은 지난 6월 메르스 여파로 한산한 명동거리. 2015.9.20 uwg806@yna.co.kr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