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올해 N수생 20만명 돌파할 것"...황금돼지띠 고3과 경쟁↑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학년도별 N수생 등 추이/그래픽=김지영


평이한 수능과 상향지원 여파에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N수생이 지난해보다 대비 2만명 이상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이 되는 2007년생도 '황금돼지띠'의 영향으로 50만명에 육박해 올해 대학 입시는 유례없는 경쟁률을 기록할 것으로 우려된다.

30일 입시업계에 따르면 2026학년도 'N수생 등'(검정고시 합격자 포함)은 20만여명으로 전년 대비 2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2025학년도 N수생 등은 18만1893명으로 2004학년(19만8025명) 이후 21년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20만명을 돌파할 경우 2001년 26만9059명 이후 처음이다. 다만 당시에는 재학생도 60만명에 달해 전체 수험생 대비 N수생 등의 비율은 30.8%였다.

올해 고등학교 3학년이 되는 2007년생도 '황금돼지띠'의 영향으로 출생아 수가 49만6822명이었다. 2006년생 대비 4만5000명이 많다. N수생 등 예상치까지 합하면 전체 수험생이 약 6만5000명이 늘어나게 되는 셈이다.

입시업계는 올해 N수생 등이 늘어나는 배경으로 지난해 평이했던 수능으로 아쉬움, 의대 증원에 따른 상향 지원 등을 꼽는다. 2025 대입 정시합격자발표는 대학마다 차이는 있지만 다음달 7일까지다. 다음달 중순께는 재수 종합반에 등록하는 등 N수생의 규모가 보다 정확히 가늠될 것으로 예상된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올해 수도권 대학 정시지원에는 전년 대비 약 6000명이 더 몰렸고, 지방은 3000명이 적게 냈다"며 "전반적으로 상향지원이 많아 대학에 불합격하는 사례가 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최상위권도 의대 증원 영향에 메디컬 쏠림 현상이 강해져 상향지원이 늘었다"며 "점수대를 막론하고 재수 가능성이 커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원중 대성학원 입시전략실장도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이 변동 가능성이 있지만 이와 별개로 수능이 아쉬웠던 학생들이 이미 재수 정규반 등을 접수하고 있다"며 "지난해 수능이 평이하다보니 합격 점수대가 촘촘해 '조금만 더 공부하면 더 좋은 대학에 갈 수 있다'는 아쉬움이 많을 수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 상위대학에 지원이 쏠리고 있는 점도 N수생 증가에 한 몫하고 있다. 임 대표는 "메이저 학원에서는 절반 이상이 삼수생일 정도로 삼수생 비율이 현격히 늘어나고 있다"며 "학생들도 취업시장의 문턱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차라리 재수, 삼수를 하는 것이 기회비용이 더 낮다고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러한 사회 기조에 반수생도 절반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에도 6월 모의고사에서 N수생 등은 8만8698명이었지만, 수능에서는 배로 늘었다. 한 학기를 다녀본 뒤에도 대학에 만족을 하지 못하고 반수를 결정하는 경우다. 통합 수능이 2026학년도, 2027학년도 밖에 남지 않았다는 점도 장수생 증가를 부추기고 있다. 2028학년도부터는 대입개편으로 국어·수학·탐구영역의 선택과목이 사라지고,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을 치러야 한다.

다만 지원하는 대학의 전형은 매년 바뀌기 때문에 재학생과 N수생의 유불리를 따지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나온다. 대학교에 따라 수시 교과전형 지원을 재학생에 제한하기도 하지만 일부 상위대학은 수시 학생부종합전형 비율이 높은 데다 수능 경쟁력이 높은 N수생 등은 최저 학력기준을 걱정하지 않고 공격적으로 수시를 지원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고려대는 올해 학교추천전형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의 탐구 과목 반영 개수를 기존 2개에서 1개로 줄였다. 또한, 학생부종합 학업우수전형의 반도체공학, 차세대통신, 스마트모빌리티의 최저기준을 기존 4개 영역 합 7에서 4개 합 8로 완화한다. 반면 이화여대는 고교추천전형에서 면접을 폐지하는 대신 수능최저학력기준을 도입한다. 한양대 논술 전형은 전 모집단위에 최저기준을 도입한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장은 "대학의 입학 선발 방식이 변화하면 과거 결과를 그대로 참고하기 어렵다"며 "올해의 변경 내용을 면밀히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입시 결과의 변화를 예측해 수시 지원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정인지 기자 inje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