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CI. /네이버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네이버가 비밀번호 대신 얼굴과 지문 인식으로 로그인을 진행하는 ‘패스키 로그인’을 도입했다.
30일 기술정보(IT)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최근 개인정보보호 강화의 일환으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대신 이용자의 얼굴이나 지문 인식으로 계정 로그인을 허용하는 ‘패스키 로그인’을 개시했다. 패스키 로그인은 PC와 모바일웹에 우선 적용됐으며, 네이버 애플리케이션(앱)은 상반기 적용을 목표로 개발 중이다.
사용자 편의성과 보안성을 높인 패스키 로그인은 기존에 사용하던 기기에 등록한 개인의 생체 정보로 몇 초 만에 계정 로그인이 가능해 편의성이 뛰어난 것이 주된 장점으로 꼽힌다. 비밀번호 오타 등으로 로그인에 실패하는 경우가 없고 복잡한 암호를 기억할 필요가 없다는 점에서도 편리하다. 노출 위험이 상존하는 비밀번호 대신 고유한 생체 정보를 활용한다는 점에서 보안성 역시 높다.
한편 네이버는 서비스 이용 중 발견한 개인정보 보호 관련 취약점이나 개선점을 제보하면, 내부 검토 후 서비스에 반영하고 사례금을 지급하는 ‘PER’(Privacy Enhancement Reward) 제도를 국내 최초로 도입해 운영 중이다. 지난해에만 총 접수 건수 268건, 총 보상 건수는 91건으로 역대 최대 규모의 접수와 보상 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전해진다. 접수 건수는 전년 대비 31%, 보상 건수도 11% 늘어난 수치다.
김수정 기자(revise@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