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확실성에 기민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오면서도, 중국을 견제하는 분위기와 약가 인하 정책으로 인해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과 바이오시밀러 업계는 수혜를 입을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30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제약·바이오 산업 정책은 약가 인하와 규제 완화, 생물보안법 추진 등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바이드 정부의 약가 규제 정책과 달리 경쟁을 촉진하는 방식으로 약가 인하를 유도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 경우 바이오시밀러 사업을 영위하는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 등 국내 기업들에게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다만 고가의 혁신 신약이나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하는 기업들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최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발간한 제27호 정책보고서에서 이효영 국립외교원 부교수는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축소하고, 미국의 전략적 독립성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 기조의 일환으로 제약·바이오 분야에서의 중국에 대한 견제는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중국과 경쟁관계에 있는 우리의 제약·바이오 산업과 기업들에게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봤다.
트럼프 행정부 집권으로 법안 추진에 다시 탄력이 붙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국내 위탁생산개발(CDMO) 기업들의 수혜 여부에 관심이 모인다. 대표적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와 롯데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바이넥스 등이 거론된다.
엄민용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바이오로직스에 대해 "트럼프 정부 2기 출범으로 생물보안법의 통과가 지연되며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수혜 기대감이 적어진 것은 큰 우려사항이 아니다"라며 "오히려 최근 중국 바이오의 성장세로 법안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다만 중국의 원료의약품 공급망이 제한돼 오히려 국내 기업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어 "트럼프 정부의 정책이 제약·바이오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며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이 세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기민하게 대응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 또한 정책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문제를 우려하며 "우리의 제약바이오 의약품 공급망을 재점검하고 의약품 분야에서의 국제협력 체계를 공고화하기 위한 대응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sykim@newspim.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