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밍 모니터 중심 성장…작년 3Q 출하량 전년比 146%↑
삼성D·LGD 패널 공급 양분…완제품, 대만업체 공세 거세
세계 최대 IT(정보기술)·가전 전시회 'CES 2025' 개막을 하루 앞둔 6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네바다주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에서 열린 LG전자 프리 부스 투어에서 직원들이 5K2K 해상도 OLED 모니터를 선보이고 있다. 2025.1.7/뉴스1 ⓒ News1 신웅수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주평 기자 = 고사양 게이밍 모니터를 중심으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모니터용 OLED 패널을 사실상 독점하는 국내 디스플레이 업체들 실적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게이밍 모니터 완제품(세트) 시장은 삼성전자(005930), LG전자(066570)가 우위를 점하고 있다. 하지만 대만과 미국 업체들도 경쟁에 뛰어들면서 이익률 확보에는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30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OLED 패널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모니터용 OLED 패널은 출하량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46%, 85% 증가해 스마트폰 패널(출하량 43%, 매출 24%), TV 패널(출하량 48%, 매출 36%)보다 월등했다.
모니터용 OLED 패널 시장은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034220)가 양분하고 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뿐 아니라 델(DELL), 에이수스(ASUS), MSI 등 글로벌 업체들 모두 삼성디스플레이 또는 LG디스플레이의 패널을 공급받는다.
각사도 모니터용 OLED에 힘을 주고 있다. LG디스플레이는 지난 22일 2024년 4분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소비자 수요를 반영한 게이밍 OLED 모니터 등 차별화 하이엔드 제품 라인업 확대를 통해 제품 출하량을 확대할 계획"이라며 "역량을 집중하고 있는 게이밍 모니터 등 차별화 제품 판매 확대를 통해 원가 개선과 함께 의미 있는 수익구조를 지속해서 강화·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CES 2025에서 2025년형 모니터 신제품을 공개한다고 2일 밝혔다. 사진은 2025년형 모니터 신제품 5종 제품 이미지. (삼성전자 제공) 2025.1.2/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게이밍 모니터 시장은 빠른 성장만큼 경쟁이 치열하다. 트렌드포스는 2024년 게이밍 모니터 출하량을 전년보다 181% 증가한 144만 대로 예측하고, 업체별 시장 점유율을 △삼성전자(31%) △LG전자(19%) △에이수스(14%) △델(14%) △MSI(11%) 등으로 집계했다.
특히 에이수스, MSI 등 대만 업체들이 점유율을 빠르게 늘리고 있고, 품질도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미국의 IT 전문매체 '톰스하드웨어'는 2025년 최고의 게이밍 모니터 5개 중 에이수스 'ROG 스위프트 PG27AQDP'를 △다른 OLED 모니터보다 더 높은 밝기 △풍부한 채도의 색상 △낮은 입력 지연과 게임 편의성 등을 들어 종합 1위로 평가했다.
경쟁 심화 현상은 실적으로도 드러난다. 모니터 사업을 담당하는 LG전자 BS사업본부는 지난해 4분기 매출 1조 2483억원, 영업손실 1231억 원을 기록했다.
이와 관련해 LG전자 BS사업본부 경영관리담당 이동철 상무는 콘퍼런스콜에서 "2024년 4분기 매출은 IT 사업은 게이밍 모니터 중심으로 연말 성수기 매출 확대를 추진했으나 경쟁 심화로 전년 대비 역성장했다"면서도 "게이밍 모니터, 의료용 모니터 등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 강화에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jupy@news1.kr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