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T리포트-돈되는 양자컴(上)] ① 글로벌 투자계·세계 최초의 QPU 상용화 기업이 바라보는 '양자컴의 가능성'
조지오스 코파스 HSBC 양자기술그룹 혁신 및 벤처 선임 연구원 (왼쪽), 마티스 리즐라스담 퀀트웨어 CEO (오른쪽) /사진=HSBC, 퀀트웨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양자컴퓨터 시장의 흐름을 방관하는 것보단 가능성을 탐색하는 게 전략적으로 덜 손해(less risky)다."
조지오스 코파스 HSBC 양자기술그룹 혁신·벤처 선임 연구원은 최근 머니투데이와의 인터뷰에서 "양자컴퓨터(이하 양자컴)가 한계에 봉착한 것처럼 보여도 상업화 가능성은 꾸준히 개선되는 추세"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유럽 최대 은행인 HSBC를 포함해 글로벌 은행의 양자기술 R&D(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는 "이미 시작됐다"면서 "양자컴이 금융권에 가져올 잠재적 효과는 수백조원대"라고 전망했다.
구글이 지난해 말 기존 컴퓨터로는 10자 년 걸리는 계산을 5분 만에 끝낼 수 있다는 양자컴 윌로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면서 양자컴 관련주의 주가는 급등했다가 1개월 후 젠슨 황 엔비디아 CEO(최고경영자)의 한마디에 곤두박질쳤다. 최소 10년은 내다봐야 하는 차세대 기술인만큼 누구도 확실한 상업성을 보여줄 수 없다는 측면에서 혼란을 가중시켰기 때문이다. 황 CEO가 양자컴 상용화에 의문을 제기한 근거는 '실용성'이었다.
리즐라스담 CEO는 "'양자 우위'를 달성했다는 학술지 논문은 경제적으로 의미가 없다"면서 "양자컴이 아무리 고전 컴퓨터보다 빠르게 문제를 풀 수 있어도 양자컴을 만드는 데 소요되는 시간·자본·공간 제약이 '실현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면 실용적 규모로 간주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양자컴의 경제적 잠재력을 100% 구현하려면 먼저 QPU 대량생산 시스템이 구축돼야 하고, 이것이 양자컴 상용화의 핵심"이라고 했다.
박건희 기자 wissen@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