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2.15 (토)

빚 못갚는 자영업자 1년새 42% 늘어…'돌려막기'도 힘들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영업자 대출 1120조원…역대 최대 기록

전체 대출자 중 절반 이상이 다중채무자

고금리와 소비 부진이 이어지며 채무를 갚지 못하는 자영업자가 최근 1년 사이 4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평가기관 나이스평가정보의 ‘개인사업자 대출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기준 개인사업자 336만9000명의 금융기관 대출 규모는 1123조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기준 자영업자 대출 규모가 1120조원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자 역대 최대 기록이다.

특히 연체(3개월 이상 연체 기준)가 발생한 상환 위험 차주(대출자)도 모두 14만6000명에 이르렀다. 2023년 3분기(10만3000명)와 비교해 1년 동안 41.8%나 급증했다. 위험 차주가 보유한 대출액도 같은 기간 21조6000억원에서 29조7000억원으로 37.5% 늘었다.

3개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최대한 빌려 추가 대출이나 돌려막기가 사실상 불가능한 자영업자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다중채무자는 172만명으로 전체 개인사업 대출자 가운데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아시아경제

서울시내의 한 상점가 연합뉴스


이들의 대출잔액(689조6000억원)은 전체 자영업자 대출잔액(1123조8000억원)의 61.4%에 해당한다.

다중채무자 가운데 연체 차주는 9만7000명, 이들이 보유한 전체 대출은 23조5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보다 각 29.3%, 29.8% 늘었다.

앞서 한국은행이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양부남 의원(더불어민주당)에게 제출한 ‘자영업 다중채무자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말 현재 자영업 다중채무자의 연체율은 2.03%로 추산됐다. 이는 2014년 1분기 말(2.16%) 이후 10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다중채무자는 가계대출 기관 수와 개인사업자대출 상품 수의 합이 3개 이상인 차주, 연체는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단 상호금융·저축은행은 1일 이상 원금 또는 1개월 이상 이자 연체)를 기준으로 정의됐다.

이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추가경정예산이 필요하다며 “추경은 당연히 어려운 자영업자를 골라 타깃으로 지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최승우 기자 loonytuna@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