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2 (목)

2400도 못넘은 코스피···올해 10% 빠졌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올 증시 2399로 마감

역대 3번째 6개월연속 하락 굴욕

나스닥 31%·닛케이는 19% 급등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스피가 2400선을 지키지 못하고 올해 마지막을 2399.49으로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는 678.19에 장을 마쳐 간신히 6개월 연속 하락을 면했다. 이로써 코스피의 올해 수익률은 -9.63%, 코스닥은 -21.74%에 그쳐 글로벌 증시 호황을 비켜갔다는 평가가 나온다. 실제 인공지능(AI) 시장이 만개하면서 미국 나스닥이 31.38%(27일 기준) 오른 것을 비롯해 일본 닛케이와 중국 상하이지수도 각각 19.22%, 15.32%(31일 폐장) 상승했음을 감안하면 국내 증시가 올해 주요국 증시 가운데 사실상 최악의 성적표를 받았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장 대비 0.22% 떨어진 2399.49에, 코스닥지수는 1.83% 오른 678.19에 거래를 마쳤다. 올 한 해 증시 폐장일인 이날 코스피에서 외국인이 1212억 원, 개인이 300억 원어치를 각각 순매도한 가운데 기관이 557억 원어치를 순매수했지만 지수 하락을 막지는 못했다. 항공기 사고의 여파로 가뜩이나 얼어붙은 투자심리가 더 악화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코스피의 경우 하반기(7~12월) 내내 떨어져 2000년 IT 버블(7~12월), 2008년 금융위기(6~11월)에 이어 역대 세 번째 6개월 연속 하락하는 굴욕을 맛봤다.

이날 원·달러 환율도 전 거래일보다 5.0원 오른 1472.5원으로 마감했다. 5거래일 연속 상승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9년 3월 13일(1483.5원) 이후 최고치를 다시 경신했다.

올해 한국 증시는 그야말로 최악이었다. 하반기로 갈수록 반도체 업황 둔화 우려,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2기 출범에 따른 악영향이 부각되면서 좀체 힘을 쓰지 못했다. 상반기와 하반기 초입만 해도 밸류업 드라이브 속에 코스피가 2891.35(7월 11일)까지 치솟아 3000을 눈앞에 뒀지만 8월 5일 블랙먼데이를 기점으로 지수가 속수무책으로 하락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국장 탈출은 지능 순’이라는 자조 섞인 비아냥도 유행했다.

외국인이 코스피에서 올 하반기 21조 1448억 원어치를 순매도하며 지수를 끌어내렸다. 특히 9월에는 무려 7조 9213억 원어치나 팔아치워 2021년 8월 이후 3년 2개월 만에 최대를 기록했다. 이후 외국인은 10월과 11월에도 4조 원대, 이달 들어서도 3조 원어치 가까이 순매도하며 국내 증시 하락을 유인했다.
올 한 해 코스피 시가총액의 10~20% 내외를 차지하는 삼성전자가 추락한 것도 한국 증시 추락의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했다. 박소연 신영증권 연구원은 “9월 이후 코스피에서 외국인의 순매도액(이달 20일 기준)이 19조 8115억 원인데 이 중 삼성전자 보통주에 대한 순매도가 18조 9767억 원으로 약 96%를 차지했다”며 “삼성전자 한 종목을 제외하면 외국인은 올해 코스피에서 11조 7000억 원어치를 순매수했다”고 분석했다. 실제 외국인은 올 9월 3일부터 10월 25일까지 역대 최장인 33거래일 연속 삼성전자를 순매도했다.

투자자의 기대 속에 야심 차게 출범한 정부의 밸류업 프로그램이 뒷심을 잃어가고 있는 점도 아쉬운 대목이다. 상반기만 해도 고대역폭메모리(HBM) 밸류체인에 속하는 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등의 주가가 크게 올랐다. AI 산업을 뒷받침할 전력 설비들을 공급하는 HD현대일렉트릭·LS일렉트릭 등도 수혜주로 주목받았다. 아울러 자동차·금융·조선·방산 등의 업종도 예상 밖의 호실적과 통 큰 주주 환원 정책을 내놓으면서 주가가 크게 뛰었다. 현대차와 기아·KB금융·신한지주·메리츠금융지주 등은 조 단위 자사주 매입·소각 계획을 발표했다.

암운은 트럼프 당선인의 부상과 함께 드리워졌다. 승승장구하던 코스피는 7월 11일 2891.35를 정점으로 기울어지기 시작했다. 트럼프 당선인은 7월 13일(현지 시간) 미 필라델피아주에서 유세 중 총격을 당하면서 존재감이 급부상했다. 이 무렵 증권가에서는 코스피 3000 달성이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고개를 들었는데, 트럼프가 철저한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해외 기업 보조금 지원 축소, 관세장벽 등을 주장한 탓이다.

특히 8월 5일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불거진 블랙먼데이 사태는 이에 기름을 부었다. 이날 하루에만 코스피는 8.77%, 코스닥지수는 11.3% 빠졌다. 블랙먼데이 이후 장세는 ‘미국은 상승, 한국은 하락’이라는 ‘디커플링(탈동조화)’ 현상의 심화로 요약된다. 뉴욕 증시에서는 엔비디아뿐 아니라 테슬라·브로드컴과 같은 소프트웨어 기업이 새로운 AI 주도주로 등장하며 연일 승승장구하고 있지만 국내는 주도주 상실 속에 각개약진 장세가 두드러졌다. 윤석열 대통령의 계엄 사태와 그로 인한 정치적 불안 상황은 엎친 데 덮친 격이었다.

증권사들은 내년 증시 고점을 2800~2900 정도로 볼 만큼 보수적 전망을 내놓고 있다. 원·달러 환율 급등, 기업 실적 악화 등으로 여건이 최악이기 때문이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내년 코스피는 상반기 하락, 하반기 상승을 예상한다”며 “주요국 기준금리 인하에도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부진과 환율 변화, 공매도 재개 등 수급에 우호적이지 않은 요인이 존재한다”고 말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가격 하락 위험이 낮은 대형주, 경기에 둔감한 대형 경기 방어주, 실적 변동성이 적은 대형주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는 국면”이라고 밝혔다.

강동헌 기자 kaaangs10@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