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연합회, 금융배출량 산출 DB 구축 경과/그래픽=이지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은행연합회가 국내 금융사들의 탄소배출량 산출을 돕기 위해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다.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은행연합회는 금융배출량 산출을 위한 '기후금융 DB' IT시스템을 구축하고 은행권을 대상으로 공개했다. 금융배출량(Scope 3)이란 금융사가 간접 배출한 탄소 배출량으로 금융사가 대출·투자해준 자산과 피투자 회사의 탄소배출량을 곱해서 산출한다.
은행연이 기후금융 DB를 구축한 것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금융권의 역할이 대두되기 때문이다. 특히 고탄소 배출사업의 자금 지원을 줄일 필요성이 제기된다.
은행연 관계자는 "2015년 파리협정 이후 국가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목표가 제기됐다"며 "국가 배출량의 핵심은 산업계가 담당하고 있고, 그중에서도 자금을 공급하는 금융권이 어떻게 배출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DB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
배출량 데이터 부족으로 외주 맡긴 금융사들…은행연, '기후금융 DB' 구축
━
금융배출량 산정 위한 DB 구성 예시/그래픽=이지혜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금융사들도 ESG 공시를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취지에는 동의했다. 문제는 금융사의 경우 탄소배출량의 상당 부분을 Scope 3가 차지해 산출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배출량 데이터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탄소배출량은 Scope 1, 2, 3로 나뉜다. Scope 1은 공장 매연 등 회사가 소유한 자원에서 발생하는 직접 배출, Scope 2는 전기 에너지 사용 등 회사가 외부에서 구매한 자원으로 인한 배출, Scope 3는 회사의 소유나 관리 여부와 관계없이 회사의 업무 과정과 연관된 기타 간접 배출을 통칭한다. 금융사가 배출하는 탄소는 금융사가 투자한 회사에서 간접 배출한 것이기 때문에 Scope 3가 대부분이다.
국내 금융지주·은행 16곳은 지속가능성보고서를 발간하며 ESG 공시를 준비했다. 그러나 자체적인 배출량 DB가 부족했고 금융배출량 산정이 어려워 대부분 외부기관에 외주를 맡겼다.
이에 은행연은 2022년 8월 금융배출량 산정을 위한 방법론인 '금융회사 탄소배출량 산정 및 탄소중립 목표 수립 매뉴얼'을 발간했다. 이어 2023년말에는 '1단계 기후금융 DB'를 만들어 금융사에 금융배출량 산정을 위한 기초 데이터를 제공했다.
올해 초부터는 1단계 DB를 보완하기 위해 대대적인 '2단계 기후금융 DB' 구축에 돌입했다. 우선 금융사가 취급하는 자산군에 국채와 발전PF(프로젝트파이낸싱)을 더해 각각 국가별 배출량, 발전소별 배출량 통계를 더했다. 예를 들면 A은행이 B국가의 국채를 보유하고 있다면, B국가의 탄소배출량과 A은행이 B국가의 자산에 기여한 정도를 계산하는 방식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은행연이 제공하는 기후금융 DB를 향후 금융배출량 산출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예정"이라며 "개별 금융사가 산출하기 힘든 기업별, 주소별, 국가별 배출량이 모두 포함돼 실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은행연이 이번에 확충한 기후금융 DB는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았다. 은행연은 지난 13일 글로벌 인증 업권의 1위 업체인 로이드인증원으로부터 기후금융 DB의 산정방법론과 관련해 '적절'하다는 평가를 취득했다.
은행연 관계자는 "영국 등 ESG 선진국인 EU국가들에도 현재 은행연이 구축한 수준의 금융배출량 DB 체계는 마련돼있지 않다"며 "은행권에 이어 제2금융권과 나아가 전 산업계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
정부·공공기관 데이터 접근하면 DB 더 구체화…ESG 공시하는 기업과 금융사에 '인센티브' 필요
━
기후금융 DB 2단계를 구축했지만 과제도 남아있다. 특히 탄소배출량과 관련해 기업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확대돼야 하고 정부가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높아져야 한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 기업에서 탄소배출량을 공시하는 기업은 2171곳이다. 탄소배출량 공시가 의무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대기업이나 공기업들로 제한된다. 따라서 중소기업의 탄소배출량은 추정에 의존하고 있다. 정부와 금융사가 연계해 탄소배출량을 공시하는 기업에 정책자금 지원을 확대하는 등 인센티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 탄소배출량을 수집하는 정부·공공기관의 데이터에 금융사가 접근할 수 있다면 금융배출량 산정이 정확해질 것으로 보인다. 예를 들어 한국에너지공단의 산업부문별 에너지 온실가스 실태조사 등을 공개하면 산업별 배출량 추정치가 실제 배출량과 더 유사해질 수 있다.
은행연 관계자는 "통계법상 공개 범위에 들어가지 않은 정부와 공공기관이 가진 배출량 데이터에 접근한다면 DB는 더욱 정확해질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금융사에서 중소기업 등으로 거꾸로 물이 넘쳐 흐를 수 있도록 각종 인센티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 18일 공개된 2단계 기후금융 DB와 관련한 IT시스템 화면/사진=은행연합회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도엽 기자 usone@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