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희대 대법원장과 대법관들이 19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법원에서 열린 전원합의체 재판에 참석해 있다. 뉴스1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오경미)는 19일 현대자동차와 한화생명보험 전ㆍ현직 근로자들이 각 회사를 상대로 제기한 임금 소송 상고심 판결을 연달아 선고하며 이같이 밝혔다. 재판장인 조희대 대법원장은 “2013년 대법원 전원합의체 판결은 통상 임금의 개념적 징표로서 ‘고정성’ 기준을 정립했다”고 먼저 설명한 뒤 “(이제) 고정성 개념은 통상 임금의 개념적 징표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밝혔다.
조 대법원장이 폐기한 고정성 개념은 근로자의 업무 성과 등과 무관하게 반드시 지급하는 돈만 통상임금에 포함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재직 여부나 근무 일수 등 조건이 달린 상여금은 고정성이 없으므로 통상임금이 아니라는 게 기존 판례의 취지였다.
조 대법원장은 먼저 “고정성 개념은 통상 임금에 관한 근로관계 법령 어디에도 근거가 없다. 고정성 개념은 통상 임금의 범위를 축소해 연장ㆍ야간ㆍ휴일 근로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함으로써 연장근로 등을 억제하려는 근로기준법의 정책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 결과를 야기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통상임금의 개념과 판단 기준은 새롭게 정립해야 한다”며 새 법리를 제시했다.
조희대 대법원장이 19일 오후 서울 서초구 대법원 대법정에서 전원합의체 선고에 앞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11년 만에 판례가 바뀌며 혼란이 예상되는 만큼, 조 대법원장은 이번 법률 효과가 장래에만 발생한다는 ‘장래효’를 강조했다. “법적 안정성과 신뢰 보호를 위해 새로운 법리는 이 판결 선고일 이후의 통상임금 산정부터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것이다. 새 법리에 따라 기존 임금을 재산정해달라는 줄소송이 전망되는 만큼, 법리를 소급 적용하면 안 된다는 점을 강조했다.
대법원 관계자는 이번 판결에 대해 “통상임금의 기능과 본질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법령을 충실히 해석하여, 통상임금의 본질인 소정 근로 대가성을 중심으로 통상임금 개념을 재정립했다”며 “재직 조건부 임금, 근무 일수 조건부 임금 등 다양한 임금 유형에 정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명확한 지침이라는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
경총 “기업 경영 환경 악화할 것”반발…“6조 추가 비용 발생”
이어 “최근의 정치적 혼란과 더불어 내수 부진과 수출 증가세 감소 등으로 기업들의 경영 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이번 판결로 예기치 못한 재무적 부담까지 떠안게 돼 기업들의 경영환경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기상여금을 모두 통상임금에 포함할 경우 향후 지속적으로 인건비 부담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면서다.
앞서 경총은 지난달 ‘재직자 조건부 정기상여금의 통상임금 산입 시 경제적 비용과 파급효과’ 보고서를 통해 정기상여금이 통상임금에 산입될 경우 연간 6조7889억원의 추가 비용이 기업에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고서에는 통상임금 산입 시 29인 이하 사업장과 30~299인 사업장 근로자의 월 임금 총액 격차(혜택받는 근로자 기준)는 기존 월 107만1000원에서 120만2000원으로 13만1000원 확대된다는 내용도 담겼다.
김준영 기자 kim.junyoung@joongang.co.kr
▶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