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와 카카오의 일부 서비스가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후 먹통이 되는 일이 발생했다. 그래픽=홍연택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뉴스웨이 임재덕 기자]윤석열 대통령이 3일 밤 '비상계엄'을 선포한 뒤 인터넷 뉴스 댓글창은 물론이고, 많은 온라인 플랫폼이 정상 작동하지 않았다. 동네 버스회사 파업마저 알리던 재난문자도 감감무소식이었다. 정부가 '국민의 알권리' 통제에 들어간 게 아니냐는 의심이 커지며 혼란만 고조됐다.
플랫폼 기업들은 이런 의혹을 일축하고, 일시적으로 트래픽이 몰려 발생한 단순 오류라고 해명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본질은 미비한 '서비스 안정성' 확보에 있는 만큼, 이번 기회에 재난대응 체계를 고도화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카페는 전날 밤 10시 40분부터 이날 오전 1시 16분까지 2시간 36분가량 정상 작동하지 않았다. 심지어 최초 1시간 정도는 접속 자체가 제한됐다. 다음 카페와 블로그 티스토리도 일시적으로 사용이 중단됐고, 국내 최대 직장인 커뮤니티 블라인드도 접속이 안 됐다. 심지어 국내 양대 포털인 네이버·다음 뉴스 댓글창이 한때 막혔다.
하루에만 4~5건, 시도 때도 없이 울렸던 긴급재난안전 문자는 비상계엄의 선포부터 해제 결의안이 가결되는 시점까지 단 한 통도 발송되지 않았다. 재난문자방송 기준 및 운영규정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대규모 사회재난 상황정보 ▲국가비상사태 관련 상황정보 ▲훈련을 포함한 민방공 경보 등의 상황에서 기간통신사업자와 방송사업자에게 재난문자방송의 송출을 요청한다.
심야에 비상계엄과 관련한 정보를 확보·공유하려던 이들의 불안감이 커진 배경이다. 일각에서는 주로 네이버·다음 등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을 두고 "정부가 계엄령 선포 후 네이버를 차단했다"는 식의 괴소문도 퍼졌다. 특히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밤 11시 이후 통행하는 이들에 대해 불시 검문하고 체포할 수 있다'는 등의 가짜뉴스까지 퍼지면서 새벽 시간 혼란은 극에 달했다.
플랫폼 사업자들은 트래픽이 일시적으로 몰리면서 발생한 단순 현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부분의 서비스는 잠깐의 지연·버벅댐 정도만 발생해 금세 바로잡았다고 해명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런 안일함을 조심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온라인 환경은 이번 계엄령과 같은 국가 비상 상황에서 정확하고 빠른 정보를 유통해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 지난해 가을 카카오 먹통 사태를 계기로, 정부가 '재난관리 의무대상자'에 플랫폼 사업자를 포함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일을 계기로 트래픽이 순간적으로 폭증하는 상황에 대비한 비상 서버를 마련하거나, 서버의 분산 및 다중화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안정적인 서비스 환경 제공은 우리나라 인터넷 환경 대부분을 장악해 수익을 내는 플랫폼 사업자들의 책무"라며 "더욱이 긴급한 상황일수록 서비스에 차질이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임재덕 기자 Limjd87@
저작권자(c)뉴스웨이(www.newsway.co.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