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도시 알레포 탈환…중부 도시 점령도 눈앞에
러·이란, 전쟁으로 지원 축소…내부 불만도 한몫
29일(현지시간) 시리아 북부 도시 이들리브 주민들이 반군이 알레포 내 여러 지역을 장악한 것을 축하하며 불을 밝히고 있다. 2024.11.29/ ⓒ AFP=뉴스1 ⓒ News1 권진영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스1) 박재하 기자 = 시리아 반군이 제2도시 알레포를 장악하면서 수년간 잠잠하던 시리아 내전이 또다시 격화 국면을 맞게 됐다.
그동안 수세에 몰렸던 반군이 시리아 정부를 지원하는 이란과 러시아가 각각의 전쟁으로 영향력이 약화한 틈을 노려 파고들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군의 거침없는 진격에 당황한 정부는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지만 낮은 지지율과 외부 지원 축소로 알레포를 재탈환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과 CNN, 워싱턴포스트(WP)등을 종합하면 하야트 타흐리르 알샴(HTS)이 주도하는 시리아 반군 세력은 지난달 30일 기습공격 개시 3일 만에 알레포 지역 대부분을 점령했다.
알레포는 수백만 명이 거주하던 시리아 제2도시로, 2011년 내전 발발 이후 2016년까지 반군이 장악해 정부군과 격전을 치렀던 주요 요충지다.
8년 만에 알레포를 빼앗기는 굴욕을 당한 정부군은 핵심 지원국인 러시아군과 함께 알레포 일대를 공습하며 강력한 대응에 나서고 있다.
이외에도 반군은 알레포 남부 이들리브와 하마로 진격해 일부 지역을 점령하면서 거침없이 공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이번 공격은 현재 시리아 반군 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HTS가 주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HTS는 이슬람 극단주의 테러 조직 알카에다와 연계된 알누스라 전선에 뿌리를 둔 단체다. HTS는 시리아 민주화가 아닌 이슬람주의 국가 수립을 최종 목표로 두고 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4일 (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 궁에서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과 만나 악수를 하고 있다. 2024.07.26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HTS가 반군 세력을 규합해 공세에 나설 수 있던 배경으로는 시리아의 핵심 우방인 러시아와 이란의 지원 약화가 꼽힌다.
러시아와 이란은 각각 우크라이나 전쟁과 이스라엘과의 분쟁으로 시리아 내전에 예전만큼 자원을 투입하기 어려운 상태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와 3년 가까이 이어진 소모전에 탄약과 병력 부족으로 북한에 손을 벌리고 있으며 시리아 주둔 러시아군 일부로 우크라이나에 재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아파 맹주' 이란 역시 이스라엘과 직접 공습을 주고받으며 군사자산을 대량 소진했고, 오랜 국제 제재로 내수 경제도 침체해 시리아에 전력을 투입하지 못하고 있다.
무엇보다 시리아 정부를 물심양면으로 지원하던 레바논 무장정파 헤즈볼라 역시 이스라엘과의 충돌로 시리아에서 병력을 일부 철수하며 영향력이 약화하기도 했다.
분쟁 전문 싱크탱크인 국제위기그룹(ICG)의 시리아 전문가 나나르 하와크는 "반군은 헤즈볼라가 약화하고 이란이 압박받고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로 바쁜 상황에 최전선에서 기회를 포착했다"라고 설명했다.
시리아 정부가 국민 지지를 잃은 점 역시 반군에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지하드 야지기 '시리아리포트' 편집인은 WP에 "시리아군과 재계, 정부의 지지층을 포함한 주요 유권자들이 바샤르 알아사드 대통령에 대해 불만을 품고 있다는 징후가 수년 전부터 나타나고 있었다"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정부가 장악 중인 지역에서 일자리를 찾아 시리아 북동부와 북서부 등 쿠르드족 민병대 점령지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고 야지기는 덧붙였다.
한편 시리아 내전은 10년 넘게 진행 중이다. 부패와 정치적 억압 등에 맞선 반정부 시위에서 촉발된 내전은 러시아와 미국,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개입하면서 복잡한 '강대국 간 대리전'으로 비화했다.
시리아 정부군이 반군으로부터 재탈환한 지 한달 후인 지난 21일 (현지시간) 알레포 인근 과거 반군장악 지역의 페허로 변한 모습이 보인다.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jaeha6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