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태균씨가 지난 8일 창원지검에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하기 전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한수빈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석열 대통령 부부 공천개입 의혹의 핵심 인물인 명태균씨가 21일 구속된 지 일주일째가 됐다. 창원지검 전담수사팀(팀장 이지형 차장검사)은 명씨 구속 이후 명씨가 김영선 전 의원(구속수감 중)과 2022년 지방선거 예비후보 2명으로부터 공천과 관련해 불법 정치자금을 받았다는 구속영장 기재 혐의를 보강하는 데 주력했다. 검찰은 윤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 여론조사 조작 의혹 등 파급력이 큰 사건들로도 수사 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검찰이 명씨 기소 전까지 남은 10여일 동안 의혹의 큰 줄기를 잡느냐가 수사 성패를 가를 것으로 보인다.
창원지검은 이날 2022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명씨 측에 1억2000만원씩 건넨 배모씨와 이모씨, 그리고 돈을 주고받는 현장에 있었던 김태열 전 미래한국연구소 소장을 불러 대질조사를 했다. “명씨의 지시로 돈을 받았다”는 김 전 소장과, “김 전 소장이 경영이 어렵자 이들로부터 돈을 빌린 것”이라는 명씨의 주장이 엇갈리는 상황에서 이 돈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조사로 보인다. 검찰은 앞서 구속영장이 기각된 배씨와 이씨에 대한 구속영장 재청구를 검토 중이다. 검찰은 “김 전 의원으로부터 세비 절반을 받아 명씨에게 현금으로 건넸다”는 강혜경씨의 진술을 명씨가 부인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지난 18일 강씨를 다시 불러 조사하기도 했다.
창원지검은 명씨 구속영장 혐의를 넘어선 의혹들도 들여다보고 있다. 지난 대선 때 명씨가 윤석열 캠프에 무상으로 여론조사 결과를 제공하고 그 대가로 김 전 의원 공천을 받아냈다는 의혹과 관련해 이날 윤석열 캠프 정책총괄지원실장을 지낸 신용한 전 서원대 석좌교수를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신 전 교수는 미래한국연구소의 비공표 여론조사, 이른바 ‘명태균 보고서’를 놓고 윤석열 캠프에서 회의를 했다고 폭로한 인물이다.
검찰은 2022년 보궐선거 때 김 전 의원 공천에 윤 대통령이 실제 개입했는지 규명하기 위해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회에 대한 조사도 시작했다. 최근 당시 공관위원들에 대한 조사는 서울동부지검에서 진행됐다. 관련자 상당수가 서울에 근거를 둔 정치인인 만큼 검찰은 앞으로도 서울 지역 검찰청사에서 조사를 진행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검찰은 당시 국민의힘 대표였던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 공천관리위원장이었던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 등에 대해서도 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 의원은 2022년 지방선거 등 공천에서도 윤 대통령과 김 여사의 개입 시도가 있었다고 주장한 적이 있어 공천개입 수사 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검찰은 명씨가 지난 대선 등에서 여론조사 결과를 조작했다는 의혹도 살펴보고 있다. 수사팀은 지난 15일 서울에 있는 여론조사업체 PNR 사무실을 압수수색해 관계자 휴대전화와 PC 등을 확보해 분석 중이다. PNR은 미래한국연구소와 지난 대선 전 윤 대통령에게 유리한 결과를 만들기 위해 여론조사를 조작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창원 국가산업단지 후보지 선정 과정에 명씨가 김 여사를 통해 관여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당시 창원시 담당 공무원 등을 상대로 조사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22일 명씨를 구속 후 4번째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최근 명씨 PC와 휴대전화에 대한 포렌식을 진행한 만큼 새로 확보한 증거들을 토대로 명씨를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명씨 구속기한은 지난 14일 구속 전 피의자심문으로부터 10일이 되는 오는 23일까지다. 검찰은 법원 허가를 받아 최장 10일간 구속기간을 연장한 뒤 다음달 초 재판에 넘길 것으로 보인다. 명씨 측은 강씨 진술에 모순이 많다며 자료 정리를 마치는 대로 구속적부심을 청구하겠다고 밝혔다.
정대연 기자 hoan@kyunghyang.com
▶ 매일 라이브 경향티비, 재밌고 효과빠른 시사 소화제!
▶ 짧게 살고 천천히 죽는 ‘옷의 생애’를 게임으로!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