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들을 읽다가 이스털린이 주목한 게 7만5000달러라는 절대적 소득이 아니라 상대적 가치라는 걸 깨달았다. 연봉 20만달러를 받아도 주위 모든 사람이 같은 돈을 벌면 행복감이 더 올라가진 않는단 뜻이다. 남보다 조금이라도 더 버는 게 행복의 기준이 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제 우리는 과거와 달리 학교 친구뿐 아니라 유명인이나 부자가 뭘 먹고, 입고, 타는지 알 수 있다. 경탄이 곧 상실로 이어지는 24시간 비교지옥에 갇힌 셈이다. 특히 한국처럼 유독 ‘포모(Fear Of Missing Out·고립공포증)’가 심한 곳에선 더 그렇다. 그래서 점점 더 중요해지는 덕목이 많지도 부족하지도 않음을 뜻하는 ‘적당과 적정’이다.
주식 투자자들의 시장 심리를 측정하는 ‘공포와 탐욕지수’라는 말이 있다. 꾸준히 수익률이 좋은 한 지인은 폭락장에도 꽤 초연하다. 떨어지는 공포와 올라가는 탐욕 모두를 견디는 힘은 공부로 채워진 중용과 자신만의 투자 철학이다. 예측 불가능한 주식 시장에서 최고의 매매법은 바닥에 사서 꼭지에 파는 게 아니다. 고수는 적정한 가격에 들어가 적당한 이익을 내고 나온다.
삶도 그렇다. 포만과 과식의 기준이 모두 다르듯 적당함은 오직 나만 알 수 있다. 혼자만의 자기 성찰이 중요한 이유다. 연결이 디폴트가 되면 단절이 더 중요해진다. 타인과의 비교가 바람 불 듯 일상인 세계에서 우리는 계속 흔들릴 것이다. 하지만 나만의 적당과 적정을 익히면 휠지언정 꺾이진 않을 것이다. 비바람 속 갈대의 적정함이 중용에 있음을 기억해야 한다. 인생은 매번 흔들리면서도 나만의 중심을 찾는 과정이다.
△매일 조선일보에 실린 칼럼 5개가 담긴 뉴스레터를 받아보세요. 세상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구독하기 ☞ https://page.stibee.com/subscriptions/91170
[백영옥 소설가]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